대전에서도 정부 차원에서 원자력시설 안전 점검을 하고 관련 정보를 시민과 공유하는 민관 협의체가 출범했다.
대전원자력안전협의회(대전원안위)는 30일 대전시 유성구 구성동 원자력안전기술원 대회의실에서 첫 회의를 열어 주요업무 계획과 협의회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대전원안위는 국무총리 산하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공식 협의회이다. 대전원안위는 원자력안전위원회와 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1명씩 참여하고 대전시와 유성구가 추천한 주민대표, 환경단체 관계자, 공무원 등 모두 17명으로 꾸려졌다. 위원장은 박태순 한국표준연구원 전문연구원, 부위원장은 김정운 관평동 주민자치위원회 고문이 맡았다.
양흥모 대전원안위원(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은 “내진기준에 미달한 하나로의 보완, 사용후 핵연료 관련 정보, 지역사무소 설치 등 현안이 산적해 있다. 시민에게 투명한 원자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사·감시 전담 조직 설치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전 유성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를 비롯해 한전원자력연료㈜의 핵연료봉 생산공장이 있다. 또 한국원자력연구원·한국원자력환경공단 등에 방사성폐기물 3만여 드럼이 보관돼 있으나 정부는 느슨한 수준의 규제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하나로 시설 건물 외벽 일부가 내진설계 기준에 미달해 가동이 중단되자 시민들은 시민단체를 꾸리고 원자력발전소 수준의 안전대책을 요구해 왔으며, 지난 9일에는 원자력 시설을 감시하는 민간 전문기구를 설립하기 위한 조례안과 주민청구인명부를 유성구에 내기도 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