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전남·경남·충남, 정부에 건의서
섬 주민들의 건강을 돌보는 병원선이 제대로 구실을 하려면 정부가 기름값을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남·경남·인천·충남 등 4개 시·도는 6일 “전국의 병원선 5척이 섬 주민의 건강을 지키는 공공의료기관의 기능을 제대로 하려면 운영비의 40%를 차지하는 기름값을 국비로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병원선들은 의사가 없는 섬 248곳을 돌며 주민 2만여명의 건강을 보살핀다. 하지만 지방의 재정 사정이 갈수록 빠듯해져 기름값을 책정하는 데도 부담이 뒤따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가 한 해 기름값으로 20억원을 지원한다면 병원선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공의료 사업을 펼칠 수 있다”는 건의서를 보건복지부와 기획재정부에 보냈다. 이들은 지난 3월 응급환자를 이송하러 가거도에 출동한 헬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난 뒤 섬 지역 의료체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공동으로 이런 건의를 했다.
병원선은 건조비를 국가가 지원하고, 운영비를 시·도가 부담해 운항한다. 정부는 1971년 병원선을 처음 도입하면서부터 예산 일체를 지원해왔지만, 10여년 전 시·도가 운영비를 대도록 방침을 바꾸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병원선 5척의 예산 44억원 가운데 80%는 시·도가, 20%는 국가가 부담했다.
강영구 전남도 보건정책과장은 “병원선은 한 해 216일을 운항하고, 180일을 진료하며 주민의 건강을 보살피고 있다. 이런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기름값을 달라고 했고, 정부도 긍정적인 태도를 내비쳤다”고 말했다.
병원선 전남511호의 정민호(48) 기관장은 “진료 대상인 섬들이 많고 거리는 멀어 한 해 4차례 정도 들어간다. 기름값 등 지원이 충분하면 주민들을 더 자주 찾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4개 시·도는 내년 정부 예산에 병원선의 기름값이 반영되고, 국회에서 도서개발촉진법을 개정해 지원 근거를 마련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