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가 6일 노조의 전면파업에 대응해 직장폐쇄에 들어갔다.
금호타이어는 이날 오전 7시부터 회사 출입문에서 노조원들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이 회사 노사는 임금피크제 도입과 성과금 지급 등을 두고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했다.
금호타이어는 “노조의 전면 파업이 장기화함에 따라 직장폐쇄를 단행했다. 노조가 파업을 철회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하면 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호타이어는 “이번 파업에 따른 매출손실이 940억원에 이르고 제품공급에 차질이 빚어져 대외 신용도 하락으로 긴박한 경영위기에 몰렸다”고 설명했다.
노조는 임단협에 진전이 없자 지난달 11일부터 4일간 부분파업을 한 뒤 지난달 17일부터 전면 파업을 벌이고 있다.
사 쪽은 일당을 2950원 올려 인상률을 애초 3.0%에서 4.6%로 올렸고, 임금피크제 시행시기를 내년으로 연기한다는 수정안을 냈다. 하지만 노 쪽은 임금피크제 시행 합의에 따른 일시금을 300만원 지급하겠다는 제안을 거부했다. 파업 동안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적용한 탓에 1인당 손실이 300만원을 넘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노 쪽은 “파업을 중단할 뜻이 없다”며 “교섭이 한걸음 진전돼 합의안 도출에 접근하는 상황이었다. 왜 일을 더 꼬이게 만드는 선택을 했는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사 쪽은 파업 손실이 크다며 전남지방노동위원회에 중재를 신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강수’를 뒀다. 금호타이어는 워크아웃 기간이었던 2011년 3월에도 노사가 전면파업과 직장폐쇄로 충돌해 8일 동안 조업이 중단된 바 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