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3농(농업·농촌·농민)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포럼이 충남에서 열린다.
충남도는 14~16일 충남도 농업기술원 등에서 ‘2015 동아시아 지방정부 3농포럼’을 연다고 13일 밝혔다. ‘농업·농촌·농민을 위한 지방정부의 길’을 주제로 열리는 이 포럼은 일본 나라·시즈오카·구마모토·군마현, 중국 옌벤·상하이시와 산시성·윈난성·헤이룽장성, 한국의 세종시·전북도 등 3개 나라 12개 지방정부와 양병우 한국농식품정책학회장, 김동환 한국몽업경제학회장 등 농업전문가를 포함해 1천여명이 참석한다.
3농 포럼은 학술 심포지엄과 각국 지방정부의 농정 현황, 3농정책 포럼 등으로 짜여져 있다.
14일 막을 올리는 학술 심포지엄은 도 농업기술원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동아시아의 연구와 대응방안’, 충남연구원에서 ‘3농 문제와 지방정부의 역할’을 주제로 나눠 열린다.
15일에는 지방정부 대표들이 각 지방정부의 농정 현황을 발표한다. 아라이 쇼고 나라현지사가 첫 발표자로 나서 ‘일본의 농업과제와 나라현 농업’을 설명하고, 이어 치우저치 베이징대 교수가 ‘중국의 3농정책 현황’을 주제로 발표한다.
3농정책 포럼은 3개의 세션으로 나눠 진행되는데 지속 가능한 농업 세션에서 한국은 ‘농업혁신 전략’, 중국은 ‘지방정부의 농업현대화 지원사례’와 ‘온실 보급모델’, 일본은 ‘지하수·토질을 개선하는 농업’과 ‘네덜란드의 최신 농업기술’을 발표한다. 더불어 사는 농촌 세션에서는 한국이 ‘충남의 마을 만들기’, 중국은 ‘농촌 공공서비스센터 건설’, 일본은 ‘농산촌 활성화를 위한 도농 교류’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농민 중심의 농정거버넌스 세션은 한국이 ‘농업회의소와 협치농정의 필요성’을 발표하고 중국은 ‘농업 글로벌을 통한 농업 현대화 전략’, 일본은 ‘아키타현 고조메마치촌의 출산률 저하와 고령화 대처방안’ 등을 각각 소개한다.
정원춘 충남도 농정국장은 “한·중·일은 농업 방식과 농촌의 발전 방식이 닮아있다. 3농포럼이 동아시아 국가 간에 농정연구 성과와 고민을 공유하는 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