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정책 토론회서 전문가들 제언
대전시의 인권정책은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수립돼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대전시가 23일 인권정책 기본계획을 마련하려고 청소년·노인·노동을 주제로 연 시민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이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김원세 대전시청소년쉼터 소장은 “학교 밖 청소년과 다문화가정 자녀, 북한이탈 청소년, 불법체류자 자녀 등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특히 이 청소년들은 주거·사회·노동·교육 환경 모두 열악한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실태를 조사해 인권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상재 대전충남인권연대 사무국장은 “비정규직 노동자를 보호하고 노동자들의 생활안정을 이루는 대책이 시행돼야 한다. 노동인권은 시민과 지역경제가 직접 연관성이 있으므로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노사민정협의체 같은 노동분쟁 조정기구를 설치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국장은 이어 “청소년 노동인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 청소년 네트워크를 꾸려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경희 노인복지센터 해피존 원장은 “노인세대의 삶을 존중하는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제공돼야 노인차별주의와 노인학대를 극복하고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노인을 보호할 수 있다”며 지속적인 지원을 요구했다. 대전시 인권정책 기본계획은 오는 11월 수립될 예정이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