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도지사 국감서 밝혀
“군공항은 국방부계획 나온뒤 논의”
“군공항은 국방부계획 나온뒤 논의”
이낙연 전남지사가 광주공항 이전을 두고 ‘선 민간공항 통합, 후 군공항 이전’이라는 2단계 추진론을 제시했다.
이 지사는 6일 전남도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광주 군공항 이전에 대한 의견을 묻는 김동철 의원(새정치민주연합·광주광산갑)의 질의를 받고 이렇게 밝혔다.
이 지사는 답변에서 “먼저 광주공항 이전과 민간공항 통합을 추진하고, 광주 군공항 이전은 국방부에서 계획이 나오면 그때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광주공항 이전, 무안공항 통합 문제는 광주시민의 입장을 고려해 조심스럽게 접근했으나 이제 논의할 때가 됐다. 광주전남상생발전위원회에 이를 의제로 상정하겠다”며 “군공항 이전은 특별법에 따라 국방부에서 이전지원안을 밝히고 주민투표에 부쳐야 하기 때문에 절차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선을 그었다.
지역구 안에 군공항이 있는 김 의원은 이날 “60년 동안 국토 서남권을 방어한 군공항의 수혜자는 광주뿐 아니라 전남도 포함된다. 상생발전을 위해 광주에 있는 군공항을 지원과 보상, 소음피해 대책을 마련한 뒤 전남 해안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수원시가 지난 6월 군공항 이전안이 적정하다는 국방부의 결정을 받아냈지만, 이전 터로 거론되는 화성시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며 “광주 군공항 이전 터가 구체화하면 전남도에서 적극 중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광주시는 지난해 10월 군공항과 민간공항을 묶어 이전하는 대신 산업·문화도시를 조성하는 내용의 건의서를 국방부에 제출했다. 이 건의서에는 올해 안에 타당성 검토를 마치고, 2017년까지 이전 터를 선정해 2025년까지 이전을 마친다는 일정이 담겼다. 하지만 국방부는 아직 이 건의안에 대한 의견을 밝히지 않았다.
이 지사는 지난 1월 한 방송 인터뷰에서 이와 관련해 “군공항과 민간공항을 한세트로 이전해야 한다”는 발언을 했다가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전남도의회 등지에서 무안공항에 군공항을 수용하려 한다는 반발이 일었기 때문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