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매년 400드럼씩 이송
시민단체 “이송 정보·안전대책 부족”
시민단체 “이송 정보·안전대책 부족”
대전의 방사성폐기물이 경주 방사성폐기물처리장(방폐장)으로 옮겨진다. 이송 관련 정보 공개와 민간 안전감시기구 설치를 바라는 대전시민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13일과 15일 두 차례에 걸쳐 대전지역 방사성동위원소 폐기물 관리시설에 저장돼 있는 방사성동위원소 폐기물 400드럼을 경주 방폐장으로 이송한다고 12일 밝혔다. 원자력환경공단은 “이송되는 방사성동위원소 폐기물은 지난달에 방사선 영향 평가를 마쳤으며, 돌발 상황에 대비한 훈련과 운반 경로 점검도 했다”고 덧붙였다. 이 공단은 2020년까지 대전지역에 보관돼 있는 방사성폐기물을 해마다 400드럼씩 경주로 옮길 예정이다. 방사성동위원소 폐기물은 병원·연구소·산업체 등에서 사용한 방사성동위원소 혹은 이 원소에 의해 오염된 물질이다.
대전유성 민간원자력환경안전감시기구 조례제정청구운동본부는 성명을 내어 “이송 관련 정보 공개 등 안전대책이 부족하다. 주민 참여를 보장하는 원자력 환경 민간 안전감시기구를 즉각 설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 단체는 “대전 유성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1만9877드럼, ㈜한전원자력연료 7525드럼, 한국원자력환경공단 3207드럼 등 모두 3만609드럼의 방사성폐기물이 보관돼 있다. 계획대로 이송해도 2020년까지 옮겨지는 폐기물은 2천여드럼에 불과하고 새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은 계속 유성 관리시설에 보관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안전대책은 내놓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 김태우 운영위원은 “내년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실험을 할 예정이어서 원자력안전법 개정 등 국회와 정부 차원의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 단체는 13일 오후 2시에 국회의원회관 제3간담회실에서 유성민간원자력안전감시기구 설립 근거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한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