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교육장 납품비리 “감사때 문제없어” 증언
의원들 확인결과 거짓 드러나 재출석해 사과
김원본 광주시교육감이 윤영월 광주서부교육장의 미술품 납품비리 의혹과 관련해 국회 교육위 국정감사에서 위증을 했다가 국감에 다시 불려가 사과하는 등 곤욕을 치렀다.
김원본 교육감은 최근 국회 교육위의 광주시교육청 국감에서 위증을 했다는 의원들의 채근이 이어지자 교육부 감사관실에 해명서를 보내고 국감장에 재출석해 사과했다.
김 교육감은 11일 교육부 국감장에 불려가 “윤 교육장의 납품비리 의혹과 관련한 목적감사가 없었는데도 감사원과 교육부에서 감사를 받은 것처럼 발언을 잘못했다”며 “기관에 대한 일반적인 감사에서 지적이 없었다는 뜻이었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구논회 의원(열린우리당)은 “상급기관 감사에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답변을 듣고 교육부와 감사원에 확인한 결과 감사를 벌인 사실조차 없었다”며 “명백한 위증이지만 나이와 건강을 고려해 고발하지는 않기로 했다”는 말했다.
앞서 김 교육감은 지난달 29일 광주시교육청 국감에서 비리의혹이 있는 윤 교육장을 부교육감 후보로 추천한 것은 부적절하다는 추궁이 이어지자 “감사원과 교육부 등 상급기관 감사에서 아무런 지적사항이 없었다”고 답변했다.
윤 교육장은 2004년 1월 서부교육청에 조소 1점을 2400만원, 2001년 11월과 12월 학생교육문화회관에 자신의 조소 1점을 2990만원, 남편의 그림 1점을 2975만원에 각각 판매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3000만원 이상 공개입찰 규정을 교묘하게 피해 납품을 했다는 의혹을 샀다.
윤 교육장은 시교육청 국감 뒤 “의혹을 산 내용은 여러 차례의 감사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실사를 하거나 해명을 듣지 않고 일방적으로 매도하는 것은 인권침해”라는 호소문을 시교육청 홈페이지에 올리고 교육위 의원들한테도 보냈다.
감사 사실이 쟁점으로 떠오르자 시교육청 관계자는 “지난해 언론보도로 시교육청 간부 4명의 미술품 납품비리 의혹이 불거졌지만 교육부와 감사원은 물론이고 광주시교육청도 이 부분을 따로 감사한 적이 없다”며 “원고 없이 답변을 하다 보니 뜻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 것 같다”고 전했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