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1387명 인권실태조사 보고회
“인권교육 한정돼 인권개념 약해
체벌, 관행으로 여겨 받아들여”
“인권교육 한정돼 인권개념 약해
체벌, 관행으로 여겨 받아들여”
충남지역 초·중·고교의 인권교육이 부분적으로 이뤄져 아동·청소년의 인권 개념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인권교육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충남도가 30일 내포신도시 도청 중회의실에서 연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 자료를 보면, 인권교육을 받은 경험을 묻는 설문에서 초등학생 66.1%, 중학생 67.7%, 고교생 51%, 특수학교 학생 88.4%가 인권교육을 받았다고 답했다.
그러나 ‘학교에서 체벌을 받은 적이 있냐’는 물음에 초등학생 25.9%, 중학생 41.2%, 고교생 42.8%, 특수학교 학생 25.6%가 ‘그렇다’고 답해, 평균 36.8%의 학생이 체벌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행복한지’를 묻는 설문에는 초등학생 84.2%, 중학생 75.8%, 고교생 64.8% 등 전체의 74.3%가 ‘행복하다’고 대답했다.
심층면접에서 중고생들은 “의견 개진은 자유롭지만 반영은 안 되는 편이다. 체벌은 부당하지만 이뤄지는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아동·청소년들은 “학교에서 인권 감수성을 키워주는 교육이 적고, 폭력·왕따·성폭력 등 학교 안팎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대처 교육이 필요하다. 임금 체불이나 차별 예방 등을 위한 노동인권 교육도 실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용역을 수행한 최현호 충남산업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학교의 인권교육은 성교육·학교폭력 등으로 한정돼 있어 학생·학교·지역의 인권 개념이 매우 약했다. 학생들은 행복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었고, 체벌도 관행으로 여겨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아동·청소년의 행복을 위해 인권 및 문화 조성과 인권 인프라 구축, 인권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인권교육 체계화 등을 제안했다. 도는 용역 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정책에 반영할 방침이다.
이 용역은 충남지역 초·중·고교생, 장애학생, 다문화아동, 편부모·조손가정, 운동선수, 대안학교·특성화고 학생, 학교 밖 청소년 등 1387명을 대상으로 지난 7월부터 설문 및 심층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