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안전한 금강’등 5대 목표
124개 세부사업에 8710억 투입
‘안전한 금강’등 5대 목표
124개 세부사업에 8710억 투입
자연성을 회복하고 하굿둑의 수문을 늘려 강의 건전성을 높이는 내용을 담은 금강의 미래 비전이 나왔다. 금강은 국가하천이지만, 충남의 젖줄이므로 충남도와 기초자치단체가 고민해 관리 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충남도는 7일 도청에서 ‘금강비전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금강비전 시행계획은 △홍수·가뭄 없는 안전한 금강 △참게·종어가 돌아오는 건강한 금강 △문화 창조의 금강 △주민이 행복한 역동하는 금강 △유역 지자체·주민이 함께하는 금강 등 5대 목표에 43개 전략, 124개 세부사업으로 꾸려졌다. 총사업비는 8710억원 규모다.
안전한 금강 부문은 물 순환계를 구축하고 빗물 활용을 늘리는 등의 이수, 홍수 위험지도를 만들고 금강하굿둑·금강보를 재평가하는 등의 치수로 각각 나누고 4대 전략을 마련했다.
건강한 금강 부문은 하구 중심의 통합유역관리, 생태하천 복원, 금강하구 생태복원, 조류서식지 조성, 멸종위기 어류 서식지 복원 등 10개 전략으로 짜였다.
창조의 금강 부문은 생활문화와 역사문화로 구분해 금강유역 시·군 간 문화교류 활성화 사업과 옛 포구와 나루터 정자를 복원하고 이를 금강역사문화유산 자료로 삼아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방안 등이 제시됐다.
역동하는 금강 부문은 관광·농업농촌·지역개발 전략에 따라 음식·관광특산물 판매단지, 수변레포츠지구 조성, 산림치유마을 조성사업 등이 적절한 것으로 발표됐다.
함께하는 금강 부문은 주민과 자치단체 등이 협력해 금강 수질을 모니터하고 전략적인 대화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내용이 담겼다.
용역을 맡은 이상진 충남연구원 연구실장은 “이 계획은 금강의 생태·문화적 가치를 높이자는 안희정 지사의 2013년 선언을 전략과 사업으로 구체화한 것이다. 실제 내년부터 금강 환경 모니터링 및 데이터베이스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등 7개 선도사업이 추진된다”고 말했다.
최종보고회를 주도한 허재영 대전대 교수는 “이 계획은 충남이 수십여 차례 공청회를 통해 지역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하천 정책의 뼈대를 세운 것으로, 그동안 지역이 원치 않는 사업을 해온 정부의 하천관리 정책을 견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게 됐다. 4대강 사업으로 금강에 설치된 3개의 보는 더 정교하고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해 평가 근거를 마련한 뒤 운명을 결정하는 것이 보를 급조한 이명박 정권에 주는 반성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