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수송분담률 15→24%로
고속버스는 57→48%로 줄어
고속버스는 57→48%로 줄어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수도권의 호남 방문자 중 10%가 고속버스에서 고속철도(KTX·케이티엑스)로 교통수단을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는 22일 호남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이용객의 행태 변화를 빅데이터로 분석했더니, 수도권 인구의 호남지역 통행 때 수송분담률이 케이티엑스는 60% 늘고, 고속버스는 15% 줄었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 케이티엑스는 2014년 14.9%에서 지난해 24.1%로 늘었다. 고속버스는 2014년 56.5%에서 지난해 48.1%로 줄었다. 항공기와 승용차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이용자 수로 보면 2015년 수도권 방문객 530만명 가운데 48만여명이 한 해 전처럼 고속버스를 타는 대신 고속철도를 선택해 분담률의 변화를 초래했다. 도시별 케이티엑스 분담률 증가는 광주가 74.4%로 가장 높았고, 여수·순천이 55.2%로 뒤를 이었다. 목포는 27.6%로 비교적 낮았다.
케이티엑스에서 내린 승객의 통신요금 청구지로 분석한 수도권 거주자의 비율은 여수역이 60.8%, 광주송정역이 53.3%로 절반을 넘었고, 목포역은 45.3%로 나타났다. 설문조사로 확인한 여행 목적 케이티엑스 승객은 여수가 71.8%로 월등히 높았고, 순천 39.2%, 목포 24.7%, 광주가 24.1%를 기록했다.
이번 분석에서는 목포의 경우 인구 대부분이 30분 안에 케이티엑스 역에 이를 수 있지만 주차장이 33대분으로 좁다는 한계가 지적됐다. 여수는 향일암 등 일부 관광지로 가는 교통편이 부족했다. 광양·영광·강진·장흥은 인구가 많으나 케이티엑스 역과 연계되는 교통체계가 없는 사각이었다.
전남도는 “케이티엑스는 고속버스에 비해 시간에서, 항공편에 비해 비용에서 경쟁력이 있다. 이번 분석이 메르스의 영향으로 인구의 이동이 위축됐던 시기에 이뤄진 만큼 2단계 구간이 개통하면 이용자가 훨씬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남도는 호남선 케이티엑스 개통 직후인 지난해 4~9월 △철도·도로·버스·공항 등 4종의 교통수단별 공공데이터 △이동통신·카드거래·차량통행 등 인구유동 관련 민간 데이터 △호남·전라 고속철 이용객 927명 설문조사 등을 통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