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균 수입량 6%나 늘어나고
재배면적도 지난해만 84%↑
농촌경제연, 피해 대비 권고
재배면적도 지난해만 84%↑
농촌경제연, 피해 대비 권고
열대과일의 수입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국내 재배농가에 경계주의보가 발령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8일 ‘최근 열대과일의 수급동향과 시사점’이란 보고서를 내고, 국내 수요 증가에 따라 열대과일 재배에 나선 농가들한테 해당 품목의 시장 개방에 대비할 것을 주문했다.
이 보고서를 보면, 2000~2015년 바나나·파인애플·자몽·망고 따위 열대과일 수입량은 연평균 5.8% 증가했다. 지난해 열대과일 수입량은 전체 신선과일 수입량 71만5천t의 67.7%인 48만4천t을 차지했다. 수입액은 전체 11억2천만달러의 43.6%인 49억달러였다.
바나나 수입은 2000년 18만4천t에서 2015년 36만3천t으로 갑절이 늘었다. 바나나는 국내에서 봄여름에 수박과 포도, 가을에 사과, 겨울에 배와 단감을 대체했다. 파인애플 수입은 같은 기간 2.2만t에서 6.8만t으로 3배가 됐다.
과일 수요가 생과 중심에서 주스, 스무디, 아이스크림 등 가공품으로 다양해지면서 자몽과 망고도 덩달아 수입이 늘었다. 자몽은 지난해 2.5만t으로 2년 전보다 1.2배 늘었고, 망고는 지난해 1.3만t으로 3년 전보다 3.7배나 됐다. 용과, 망고스틴, 두리안, 파파야 따위도 수입 품목에 이름을 올렸다.
소비가 늘면서 국내의 열대과일 재배면적도 2014년 58.0㏊에서 2015년 106.6㏊로 83.7%가 늘었다. 생산량은 같은 기간 769.6t에서 1174.1t으로 52.5% 증가했다. 재배농가는 제주가 33.3%로 가장 많았고, 경북(20.8%), 경남과 전남(각 15.2%) 등이었다.
연구원 쪽은 “열대과일 재배농가 쪽이 시설투자비 과다와 재배기술 부족, 국내 시장 미형성 등 어려움을 넘어서도 관세율 인하와 수입량 증가에 따른 피해를 볼 수 있다. 90년에 666.3㏊까지 늘어났던 바나나 등 재배농가가 수입 자유화 이후 대부분 폐원한 교훈을 새겨야 한다”고 당부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