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비 20년만에 물려 임금 줄어
학교비정규직노조 임금인상 촉구
교육청서 2950배…내달 총파업도
학교비정규직노조 임금인상 촉구
교육청서 2950배…내달 총파업도
광주지역 학교에서 근무하는 급식종사원들이 단단히 뿔이 났다.
학교비정규직노조 광주지부는 26~30일 광주시교육청 앞마당에서 시교육청의 갑질 중단과 성실한 임금 교섭을 촉구하며 2950배를 진행중이다. 2950은 급식종사원, 교무실무사, 과학실무사. 전문상담사 등 24개 분야의 비정규직 노조원 수이다.
노조는 오는 31일 오후 5시30분 같은 장소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연다. 이어 6월9~10일 이틀간 총파업에 돌입한다.
노조는 한해 55만원인 상여금을 100만원까지 인상하고, 각종 수당의 차별을 해소할 것 등을 요구하고 있다. 급식비는 정규직이 13만원인 반면 비정규직은 8만원이고, 교통비도 정규직 12만원, 비정규직은 5만원이다. 또 급식종사원은 지난 95년부터 20년 동안 면제됐던 급식비를 지난해부터 내 임금이 낮아졌다. 이들은 도시락을 지참하려 했지만 학교 외부에서 음식물을 반입할 수 없다며 막고 있다.
김광민 광주지부 조직국장은 “급식수당은 비정규직의 낮은 임금을 보존하기 위해 신설됐다. 밥 먹을 시간과 장소가 마땅치 않아 제대로 식사를 하지 못하는 이들에게 급식비를 부과하는 것은 인권차별의 요소가 있다”고 말했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중 급식종사원한테 급식비를 물리는 지역은 광주·전남·대전 등 3곳에 불과하다. 행정기관이나 병원식당에서도 종사원한테 급식비를 요구하지 않고 있다.
한연임 광주지부장은 “임금 총액으로 비교하면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비해 10년차는 50%, 20년차는 37%를 받고 있다. 이런 불평등을 해소하려고 8개월째 교섭을 촉구했지만 ‘누리과정 편성 등으로 예산이 없다’는 답변만 들었다”고 항변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