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18개 대형유통점의 2015년 지역기여도 조사. 2014년보다 개선됐지만 지역상품 구매액 4.7%(993억원) 그치는 등 목표에는 미달
대전지역 대형유통업체들의 지역상품 구매율이 총매출액의 4.7%에 그쳐 업계 스스로 정한 목표 7.0%에 크게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는 유통업체 본사에 지역상품 구매를 확대하도록 요청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의 대책 마련에 나섰다.
22일 대전시는 지역의 백화점 4곳, 대형마트 14곳의 ‘2015년 지역기여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를 보면, 대형유통업체의 총매출액은 2조1072억원이고 지역상품 구매 실적은 총매출액의 4.7%인 993억원이었다. 대형마트의 지역상품 구매율은 평균 5.5%로 나타났다. 이마트는 월평점 9.4%, 터미널점 9.1%, 둔산점 7.6% 등 평균 8.6%로 가장 높았다. 홈플러스는 탄방점이 7.9%로 조사되는 등 7개점 평균 6.5%였다. 롯데마트는 대덕테크노밸리점이 1.7%에 그치는 등 평균 2.5%로 가장 낮았다. 백화점은 평균 3.8%였으며 백화점 세이가 5.1%로 가장 높았다.
이런 결과는 2014년 3.8%(목표 5.0%)보다는 증가했으나 2015년 목표치 7.0%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목표치는 대형유통업체 대표·전통시장 상인 등으로 꾸려진 유통업체상생발전협의회에서 정했다.
또 용역은 총발주액 428억원의 33.9%(145억원)를 지역에서 발주해 목표 60%의 절반 수준에 그쳤으며, 공익사업 참여실적도 목표치인 총매출액의 0.35%보다 낮은 0.27%(57억원)로 각각 집계됐다. 인쇄물은 총발주액 25억원의 88.5%(22억원)를 지역업체가 맡아 목표 80%를 넘어섰으며, 지역인력 고용은 총고용인력 3148명 가운데 95.3%(3천명)으로 목표 96%에 근접했다.
시는 2014년과 지난해 실적을 비교했더니 △지역상품 구매 0.9% △지역업체 활용 22.5% △지역인력 고용 0.6% △공익사업 참여 0.03% △지역업체 입점 54개(195개→249개) △지역상품 상설매장 2곳(1→2곳) 등 모두 늘었다고 분석했다. 또 대형유통업체 특성상 농산물은 물론 보안·청소·경비·주차 등 업무를 본사가 처리하는 경우가 많아 지역업체 참여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고 덧붙였다.
유승병 시 일자리경제과장은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대형유통업체들의 지역기여도를 높이는 대책을 세우고 있다. 이들 업체의 본사에 지역상품 구매, 지역업체 우선 계약 등을 요청하고 전통시장과 1대 1 결연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