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 주민 200여명이 지난 17일 서울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 공청회에 참석해 일방적인 추진에 항의하고 있다. 한빛원전 범군민대책위 제공
사용 후 핵연료를 원전 안에 임시로 저장한다는 정부의 방침에 대해 전남 영광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전남 영광의 한빛원전 범군민대책위원회는 28일 오후 3시 영광군청에서 한빛원전 고준위 핵폐기물 저장시설을 저지하기 위한 결의대회를 연다. 이 대회에는 영광지역 기관과 주민·환경·사회단체 153곳의 회원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이들은 결의대회에 앞서 배포한 문건을 통해 “정부가 한빛원전 안에 고준위 핵폐기물을 단기 저장하는 시설을 신축하기 위해 지난 4월부터 예비 타당성조사에 들어갔다. 주민 동의 없이 추진 중인 고준위 핵폐기물 저장 시설과 예비 타당성 조사용역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15년 전 중·저준위 핵폐기물 저장시설을 설치할 때도 군민들이 찬성과 반대로 나뉘어 엄청난 갈등과 반목을 겪었다. 그 상처가 치유되기도 전에 고준위 저장시설을 설치하려 한다”고 우려했다.
영광주민들은 지난 17일 서울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 공청회에 참석해 지역에 원전 안에 사용 후 핵연료를 저장하려는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대책위의 김관용 기획총무팀장은 “사용 후 핵연료를 임시 저장하는 것이 중기저장, 영구저장으로 연장될 것이라는 주민의 우려가 높다. 원전지역인 삼척·영덕·경주 등지와 연대해 주민과 소통 없이 만들어진 정부안을 폐기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다음달 중순까지 국회와 정당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원자력안전위원회,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등지에 이런 의견서를 전달하기로 했다. 같은 달 하순 5000여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주민집회도 열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5일 앞으로 12년에 걸쳐 사용 후 핵연료 중간저장시설과 영구처분시설 터를 선정하고 중간저장시설은 2035년, 영구처분시설은 2053년에 가동한다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안’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전국의 원전 4곳에는 고준위 핵폐기물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시설이 신축된다. 고준위 핵폐기물은 사용 후 핵연료나 이를 재처리하고 남은 부산물 등을 이른다. 원전에서 사용한 장갑·옷 등 중·저준위 핵폐기물보다 위험하기 때문에 보관하는데 고도의 설비가 필요하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