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는 지난 24일 100여명이 참석한 마을공동체 만들기 기본계획 설명회를 열고 각계의 의견을 들었다. 전남도 제공
“마을이 훈훈해지면 세상이 바뀐다.”
생활의 기본 단위인 마을의 주거 환경과 주민 의식을 바꾸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전남도는 28일 오전 전남도청 정약용실에서 지방자치, 농업경제, 도서문화, 도시재생, 체험관광 분야의 전문가 20명이 참석한 가운데 마을공동체 만들기 기본계획을 심의한다. 이 계획은 지난해 12월 제정된 마을공동체 지원조례에 따라 세워졌다. 이 계획에는 △중간지원센터 설치 △활동가·지도자 양성 △작은 사업 지원 △주민참여 심사 등이 담겼다. 심의를 통과하면 2016~2020년까지 5년 동안 시행된다.
각종 마을 관련 사업을 추진중인 전남의 마을 1741곳 가운데 60곳은 2개 이상 사업에 선정돼 중복 지원을 받는 등 편중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중 마을 215곳은 다달이 활동비 120만~132만원을 받는 사무장을 채용하고 있지만 지원 기간이 3~8년에 불과해 상시 고용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도는 이에 따라 현장에서 내용과 방향이 겹치는 마을 관련 사업을 총괄적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또 겉모습 뿐 아니라 마을의 분위기와 주민의 인식을 바꾸는 정서적 변화를 이끌어내기로 했다.
특히 예산이 많이 들어가는 대규모 사업을 피하고 이웃집 안부 살피기, 실개천 살리기, 마을 안길 쓸기, 정자 주변 정원 만들기, 공동 텃밭 가꾸기, 마을 문고 열기, 양성평등 문패 달기 등 작은 사업을 추진하도록 권유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연말까지 2팀 6명이 활동하는 중간지원센터를 설립하고 해마다 4억원을 지원한다. 이 지원센터에서 5년 동안 활동가 150명과 지도자 1000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활동가는 4~5개 마을의 사업 전반을 자문하고, 지도자는 마을에 살며 사업을 이끌어 간다. 이들한테는 마을 자원 조사, 마을 과제 수립, 주민회의 기법, 주민 갈등 관리, 사업 계획서 작성과 회계 처리 방법 등 실무를 알려준다.
마을이 사업을 제안하면 10여곳의 제안자들이 상호 심사를 벌여 지원 사업을 선정하도록 3한다. 이런 활동으로 주민들의 자신감이 붙으면 특산품 공동 판매와 마을기업 공동 출자 등으로 확대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