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권도시포럼 참가자들이 21일 ‘지방정부와 인권 가이드라인’을 두고 토론을 펼치고 있다. 광주시 제공
세계 인구의 절반이 몰려사는 도시의 현안을 짚어보는 인권도시포럼이 펼쳐진다.
광주시는 21일 ‘우리는 어디에 살고 있는가:도시발전, 주거 그리고 환경’이라는 주제로 세계인권도시포럼을 개막했다.
이 포럼은 24일까지 도시의 환경, 여성과 장애인, 이주민·난민, 어린이·청소년, 노인과 주거, 사회적 경제와 도시재생, 교육정책과 학교자치 등 8개 분야의 주제회의로 진행된다.
지방정부의 책임을 살피는 인권 가이드라인, 인권증진 도시정책, 사회통합과 참여, 비정부기구 평가 등 7개 분야의 특별회의도 곁들인다. 회의 발제와 토론은 상황에 따라 한국어와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으로 동시통역된다.
포럼에는 요티 상헤라 유엔(UN) 인권사무소 대표와 호세 텔레즈 스페인 바달로나시 의원 등 30개국 62개 도시의 인권 전문가와 활동가, 공직자 등 1000여명이 초대됐다. 인권도시를 표방하는 윤장현 광주광역시장, 원희룡 제주도지사, 이재명 경기 성남시장 등도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나흘 동안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는 행복한가’라는 화두를 놓고 환경 교통 교육 의료 복지 고용 주거 노동 문화 안전 등 다양한 분야의 현안과 대안을 찾는다.
이들은 “세계 인구 중 도시 거주자는 현재 55%에서 2050년 66%로 늘어날 전망”이라며 “성장하고 확대되는 도시 안에서 필연적으로 소외되는 수억명을 어떻게 끌어안을지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다짐했다.
분야별 주제회의에선 △사회적 공간적 혜택에서 제외되는 약자들을 어떻게 끌어안을 것인가 △새로운 이주민은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공공서비스와 도시이동성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 △다양한 문화와 세대가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 등 의제로 접근한다. 또 5·18민주화운동기록관과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인권도시 광주의 역사를 배운다.
이번 포럼은 오는 10월 에콰도르의 키토에서 ‘도시권 운동’을 다루는 3차 유엔 해비타트 회의(1차는 76년 밴쿠버, 2차는 96년 이스탄불)를 준비하는 성격도 지니고 있다.
장봉주 광주시 인권평화교류담당은 “참여자들이 5·18의 발원지에 신축한 아시아문화전당에서 토론을 펼친다는 점을 뜻깊게 여기고 있다. 24일 폐막식 때 의제별로 도전에 대응하는 지혜를 담아 광주선언을 발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시는 지난 2011년 “인권도시란 인권이 근본적인 가치로서 받아들여지는 지역사회 공간이자 실현되는 정치사회 과정”이라고 선포한 뒤 해마다 인권신장을 위한 포럼을 열어왔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