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후속 이행 점검 결과 발표에 따라 지역 대학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재정지원제한에서 벗어난 대학은 안도했지만, 강원 상지대와 충북 청주대 등 여전히 하위등급을 받은 대학은 경영진 교체 요구 등 후폭풍이 거세다.
정부 재정지원제한 대학(3그룹 D등급)에서 벗어나지 못한 청주대는 6일 정성봉 청석학원 이사장을 대학 총장으로 선임하는 등 위기 탈출을 위한 행보를 시작했다. 청주대는 “정 총장은 난국을 타개할 적임자”라고 밝혔다. 정 총장은 “혁신적인 학사 구조개편과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과정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교수회는 곧바로 반대 뜻을 밝혔다. 박찬정 청주대 교수회장은 “20년 동안 이사·이사장으로 부실 학교 경영의 책임자인데 다시 총장으로 세워 위기를 넘겠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청주대에 사망 선고가 내려졌다. 대학 정상화는 물 건너갔다”고 말했다. 교수회는 7일 오후 5시 교수총회를 소집했다.
청주대는 교육부 발표 뒤 ‘청주대는 부실대학이 아닙니다’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내어 진화에 나섰다. 청주대는 “재정·학생지원·교육체계 개선분야 등 대부분 지표가 상승했지만, 학사구조 개편 분야의 정원조정 연계성 영역에서 낮은 점수로 과락처리 됐다. 교육 당국의 정원 감축 정책에 부합하지 못했다고 해서 부실대학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교육부 관계자는 “한 지표가 낮은 것이 전체적 평가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고등교육기관이 갖춰야 할 기본 요소들이 부족했고, 그래서 정성·정량 평가에서 저평가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재정지원을 제한받게 된 상지대(D등급)도 구성원들의 반발이 거세다. 상지대 교수협의회와 총학생회, 대학노조 상지대지부는 7일 기자회견을 열어 상지학원 이사회와 조재용 총장직무대행 등 대학 경영진 총사퇴를 촉구할 예정이다.
상지대 교수협의회는 “2010년 사학분쟁조정위원회 결정으로 김문기 쪽 옛 재단이 복귀한 뒤 연이어 대학평가에서 실패하고 있다.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은 아예 취소됐고, 곧 발표될 대학기관인증평가와 2017년 대학입시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대학이 총체적인 위기에 직면해 존폐가 거론될 지경”이라고 지적했다. 방정균 교수는 “대학본부에 교육부로부터 통보받은 내용을 구성원들에게 알리고 전체 교수회의를 열어 대응책을 마련하고 현 교무위원들에겐 응당한 책임을 요구했지만 묵묵부답이다. 상지학원과 현 본부체제의 무능함과 무책임함이 백일하에 드러난 만큼 즉시 현 자리에서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원대·건국대 글로컬·고려대 세종·대전대·한서대·연암대(완전해제), 꽃동네대·극동대·나사렛대·을지대·중부대·홍익대 세종·유원대·충북도립대·상지영서대(일부 해제) 등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은 충청·강원 대학들은 안도했다. 대전대 관계자는 “학교는 명예를 되찾고 학생들도 불이익을 받지 않게 돼 다행”이라고 말했다.
오윤주 박수혁 송인걸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