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 저지 대전행동은 5일 대전시청 앞에서 대전 수돗물 민영화 반대 10만시민 서명운동을 선포하고, 시가 민간투자사업을 강행하면 권선택 대전시장에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대전 상수도 민영화 논란’이 시민 평가를 받게 됐다. 대전시가 ‘민간 위탁이지 민영화가 아니다’라는 내용의 시민 홍보물을 제작하자 시민단체는 민영화 반대 서명운동에 나서며 맞불을 놨다.
사회 공공성 강화 민영화 저지 대전공동행동(대전공동행동)은 5일 대전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전 수돗물 민영화 반대 10만 서명운동에 돌입한다”고 선언했다. 대전공동행동은 “권선택 대전시장은 그동안 ‘수돗물 민간 위탁 문제를 공론화하고 여론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 시 상수도사업본부의 상수도 민간투자 제안 홍보 계획과 토론회 목적 등을 보면 민영화를 밀어붙이고 있어 민영화 반대 시민 서명운동에 나선다”고 밝혔다.
대전공동행동이 거리행동에 나선 데는 전날 대전시가 일반 시민 대상 선전전에 나서기로 한 게 결정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는 4일 열린 대전시 확대간부회의에서 ‘고도정수 바로 알기 홍보물 13만장을 만들어 일반 가정에 배포하겠다’고 보고했다. 시는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 등 행사장에서 고도정수처리시설 민간투자사업의 필요성을 알리고 시민 공감대를 넓히는 토론회도 계속 열 방침이다. 앞서 시는 지난달 22일부터 4차례에 걸쳐 대전시 공무원 2400명에게 상수도 고도처리시설에 대해 설명했다.
대전공동행동은 “서울·울산·대구·부산은 재정사업(정부지원금과 자치단체 예산)으로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췄고, 인천과 광주도 재정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대전만 예산이 없다며 민간투자를 받으려고 한다. 고도정수시설 설치 예산이 1124억원 규모이고 최근 상수원인 대청호 수질이 악화해 이 시설이 시급하게 필요하다면 시가 정부지원금을 받아 설치하면 될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대식 대전공동행동 공동대표는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에 공감하지만, 시가 민영화 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에 반대하는 것이다. 권 시장은 그동안 시민과 소통해 시정을 이끌어온 만큼 고도정수처리시설 사업도 시민의 뜻에 따라 백지화하길 기대한다. 그러나 시가 민간투자 방식을 고수한다면 그 책임은 권 시장이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사진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