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경찰청, 차량의 속도제한 장치 해제한 업자·기사 30명 입건
기아타이거즈 구단 버스도 2년 동안 위험 무릅쓰고 원정 다녀
기아타이거즈 구단 버스도 2년 동안 위험 무릅쓰고 원정 다녀
고속도로에서 제한속도를 넘어 아찔하게 질주하는 관광버스와 화물 차량의 꼼수가 밝혀졌다.
광주지방경찰청은 18일 관광버스와 화물 차량의 속도제한장치를 불법 조작한 혐의(자동차 관리법 위반)로 김아무개(45)씨 등 자동차공업사 업자 4명, 이아무개(56)씨 등 운전기사 26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이들은 2012년 7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관광·전세버스 7대, 화물차 19대의 속도제한장치를 무단으로 조작한 혐의를 받고 있다.
김씨 등 업자들은 지자체의 승인을 받지 않고 무단으로 속도제한을 해제하는 기기를 차량 전자제어장치에 연결해 최고 속도제한을 멋대로 해제했다. 제한 속도는 관광버스가 시속 100㎞, 화물 차량은 90㎞다. 속도제한장치를 달면 가속기를 아무리 밟아도 차량이 사전에 설정한 한계 속도 이상은 달리지 않는다.
이들은 '엔진 출력 증강' 등이 적힌 명함을 고속도로 휴게소, 공단 주변 차고지, 자동차 정비업소 등에 배포해 운전기사를 끌어들였다. 운전기사들은 오르막에서도 가속을 하고, 운행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대당 15만~25만원을 주고 속도제한을 해제했다. 자동차 검사를 받을 때는 속도제한을 다시 설정하고 검사가 끝나면 해제해 단속을 피했다.
속도제한이 풀린 전세버스에는 기아타이거즈 선수단이 이용하는 버스 3대도 포함됐다. 기아 선수단은 2014년 3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이들 버스를 타고 원정을 다녔다. 구단 쪽은 이런 사실을 몰랐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경찰은 광주시청과 합동단속을 벌여 이런 사실을 적발했다. 광주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 김옥수 부대장은 "대형 교통사고의 원인이 주로 과속에서 비롯된다. 시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불법적인 속도제한 해제행위를 지속해서 단속하겠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