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충남도지사가 1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연안·하구 생태복원 토론회에서 둑을 터 역간척하는 자연순환형 복원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닫힌 하구를 터 강과 바다의 숨길을 열고, 갯벌 생태계를 살리자.’
썩어가는 보령호를 트는 ‘역간척’ 사업을 벌이고 있는 충남도가 닫힌 하구를 허무는 자연 순환형 연안·하구 생태 복원을 정부에 제안했다. 방조제 축조 뒤 생명 다양성 훼손을 부른 영산강 유역 등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전국 하구역 463곳 가운데 닫힌 하구는 228곳(49.2%)이며, 금강 권역은 하구역 67곳 가운데 61곳(91%)이 닫힌 하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강 유역은 80.7%, 섬진강 유역은 53.5%, 한강 유역은 49.3%, 낙동강 유역은 28.7%가 닫힌 하구로 조사됐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16일 국회에서 연 ‘연안·하구 생태복원 정책토론회’에서 “연안 및 하구는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는 등 가치가 매우 높은 자연 생태계인데도 간척 등 개발로 크게 훼손돼 있어 국가 차원의 생태복원 정책 수립이 시급하다. 아버지 세대는 발전을 위해 강을 막아야 했지만, 이제는 발전을 위해 둑을 트는 정책이 시대에 맞는 미래발전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연안·하구 생태계는 자연 순환형으로 풀어야하며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는 박완주·김태년·김태흠·성일종 의원 등 여·야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했으며, 농림축산식품부·환경부·해양수산부 등 관련 부처와 충남·전남 등 지자체, 해양생태 전문가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충남도가 추진하고 있는 생태복원형 역간척 사업에 관심을 보였다. 역간척은 강 하구를 막아 건설한 방조제의 갑문을 열어 갯벌 등을 살리는 사업이다. 충남은 지난해 3월부터 서산·태안 등 서해안 7개 시·군의 279개 둑 등 간척시설을 전수 조사해 기능이 떨어진 시설을 지연상태로 복원하는 것을 뼈대로 한 ‘연안·하구 생태복원 역간척 사업’을 추진해왔다. 충남도는 지난 7월 보령호와 서산 고파도 폐염전을 역간척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한 바 있다. 보령호는 농업용수로도 쓸 수 없을 만큼 수질이 악화했고, 고파도 폐염전은 쓸모가 없어 방치돼 있다.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연안·하구 생태복원 토론회에서 정부 차원의 자연순환형 갯벌 복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상진 충남연구원 박사는 주제 발표에서 “갯벌 매립, 방조제 등 그동안 추진한 ‘닫힌 하구’ 정책 때문에 생태계 순환 고리가 차단되고, 오염물질이 축적됐으며, 용존산소 농도와 갯벌이 크게 줄어드는가 하면 수생태 건강성이 악화하는 등 하구 생태계가 훼손됐다”고 밝혔다. 김종일 광주전남연구원 박사는 전남지역 하구 현황, 영산강 하구와 섬진강 하구의 변화 및 생태복원 논의 등을 소개하고, 하구 생태계 복원 타당성 조사, 소규모 하구 생태복원 시범사업 추진 등 하구 생태계 보전·복원 과제를 제시했다.
이창희 명지대 교수는 “하구 관리를 위한 법제 개발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구체적인 성과가 없다. 하구 보전·이용·개발과 연관된 기존 사고를 벗어난 전향적 의식 전환 및 공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사진 충남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