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화로 원주민 쫓겨나는 ‘둥지 내몰림’
종로구 가회동·삼청동 등 약 113만㎡ 대상
골목상권 보호·마을재생 등 주거환경 개선
종로구 가회동·삼청동 등 약 113만㎡ 대상
골목상권 보호·마을재생 등 주거환경 개선
서울시가 ‘둥지 내몰림’(젠트리피케이션) 원조 지역으로 꼽히는 서울 종로 북촌 일대의 지구단위계획을 재정비한다. 2010년 1월 지구단위계획 결정 이후 7년 만으로, 외국인 관광객의 급증과 상업화로 한옥 밀집지역까지 훼손되고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서울시는 북촌 일대에 대해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한다고 20일 밝혔다. 남북으로는 안국역~삼청공원, 동서로는 경복궁~창덕궁까지 약 113만㎡ 규모다. 시는 2001년 북촌 가꾸기 사업을 시작한 뒤 2007년과 2010년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이번 재정비 목적은, 대로변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상업화가 주거 밀집지역까지 확대되면서 주민 민원이 많아져서다. 관광객을 상대로 하는 상업시설이 늘어나 한옥의 외관이 변형되고 주차공간이 부족해지는 등 주거 환경이 나빠졌다. 또 프랜차이즈 업체가 골목상권을 잠식해 들어오는 것도 문제다. 북촌은, 서촌·홍대·성수동 등이 상업화하면서 기존 주민들이 떠나고 상업시설이 대신 들어오는 둥지 내몰림 현상의 원조로 불리는 지역이다.
재정비 용역은 지난해 12월 말부터 올해 연말까지 1년 동안 진행한다. ㈜유아컨설턴트에서 7억4000만원에 낙찰받았다. 서울시 주택건축국 한옥조성과 이두수 주무관은 “관광버스 통행 금지, 대형 프랜차이즈점 입점 제한 등을 포함해 골목상권 보호 대책, 마을재생을 위한 주거환경 관리사업 구역 지정, 주거환경 개선 등 전반적인 도시관리계획 방안을 마련한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지역주민을 위한 용역 착수보고회를 24일 오후 3시 삼청동 주민센터에서 연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