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난해 10~12월 3개월 실태조사
대기업 시장 진입한 후 40% 수익 ↓
소매업자들, 동반성장위원회에 적합업종 신청서 제출
대기업 시장 진입한 후 40% 수익 ↓
소매업자들, 동반성장위원회에 적합업종 신청서 제출
서울 종로구에서 스마트폰 판매점을 운영하는 ㄱ씨는 매장 근처에 대형 유통업체가 문을 열자, 월평균 판매량이 200대에서 80대로 줄었다. 과거 중랑구 상봉동에서 9개 매장을 운영하던 휴대폰 판매 점주 ㄴ씨는 매장 근처에 대형마트가 들어선 뒤 6개의 매장문을 닫았다. 1개 매장을 더 폐장하려고 한다. 운영의 어려움으로 매장규모와 직원 수를 절반으로 줄였다.
스마트폰 판매점 시장에서도 중소판매점의 어려움이 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 경제진흥본부 소상공인지원과는 통신사나 단말기 제조회사 직영 대리점이나 대형전자기기 양판점 등 대형 유통업체가 근처에 입점할 경우, 중소 판매점의 고객 수와 매출액, 순이익 등이 40% 정도 준 것으로 나타났다고 15일 발표했다. 폐점이나 업종 전환을 고려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도 71%나 됐다. 통신기기 시장 실태는 서울시가 서울여대 산학협력단과 지난해 10월~12월 3개월 동안 154개 중소 통신기기 판매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통신기기 소매업체의 하락은 2014년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2014년 39%이던 중소규모 판매점의 비중은 2015년 30%로 줄었다. 2013년 28.9%의 판매점이 연매출액 1~2억원이라고 응답했지만, 지난해엔 연매출 1000만~5000만원이란 응답이 37.1%로 가장 높았다. 반면, 2014년과 2015년 기준으로 직영 대리점과 대형유통업체가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에서 40%로, 23%에서 30%로 늘고 있다.
통신기기소매업 중소기업자단체인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는 15일 중소기업적합업종을 지정하는 동반성장위원회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서울시 역시 통신기기소매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할 것을 정부에 촉구하고 협회 차원의 신청을 지원하기로 나섰다. 서울시는 지난해 2월 발표한 ‘경제민주화도시 서울’ 정책으로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을 돕기 위한 실태조사를 했다. 통신기기소매업에 이어 ‘떡국 떡과 떡볶이 떡 제조업’이 적합업종으로 재지정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떡 제조업은 2014년에 한 차례 지정돼 올해 8월 권고 기간 만료를 앞두고 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