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세월호가 거치될 목포신항에 세월호에서 빼낸 펄 주머니가 보인다. 공동취재사진
해양수산부가 세월호 인양 과정 내내 선체 무게를 줄이는 과정에서 우왕좌왕해 불신을 자초하고 있다.
세월호 현장수습본부는 4일 “세월호 무게를 줄이기 위해 화물칸인 디(D)데크 좌현 하부에 배수 구멍 21곳을 뚫기로 결정했다. 3일 19곳을 뚫었으나 진흙으로 막혀 있어 기대한 만큼 효과가 없었다. 6일까지 462t을 줄여야 하지만 이 구멍으로 나온 바닷물은 14~15t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비상이 걸린 현장팀은 구멍의 지름을 애초 6~7㎝에서 1차로 15㎝(3곳), 2차로 20㎝(1곳)까지 확대했지만 배출량과 속도는 달라지지 않았다.
결국 해수부는 선체 무게를 줄이는 대신 운송장비의 이송능력을 향상하기로 했다. 모듈 트랜스포터 24대를 도입하면 무게 600t을 더 감당할 수 있어 육상 거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중량 초과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진입할 공간이 부족해 운송장비 추가 도입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전날의 입장을 번복한 것이다.
앞서 현장수습본부는 지난달 27일 반잠수식 운반선 갑판 위에 세월호를 끌어올린 뒤 선체에 배수 구멍을 뚫기로 결정했다. 반잠수선 운항과 목포신항 거치를 위해 무게를 줄여야 한다는 논리였다. 이 때도 애초 32곳에 10㎝ 크기로 구멍을 뚫으려 했으나 시험적으로 뚫은 4곳 중 3곳에서 기름이 흘러나오자 작업을 중단했다. 무게를 줄이는 데 급급해 선체에 남아 있는 해수의 성분조차 모른 채 성급하게 구멍뚫기를 하다 번복한 것이다. 이후 기름 섞인 바닷물은 그대로 싣고 목포신항으로 이동한 뒤 처리하기로 했다. 하마터면 인근 미역·톳 양식장을 더 망칠 뻔한 오판이었다.
지난 23일 1m 시험 인양 때 선미 좌현 램프의 개방을 눈치채지 못하고, 지난 1일 선미 좌현 램프에 걸려 있던 굴착기와 승용차 등 화물을 끌어내린 점 등도 중대한 실수라는 비판을 샀다. 소조기 안에 마무리해야 한다는 핑계로 무게를 줄이려 했을 뿐 세월호 선체를 온전한 상태로 목포신항에 거치하겠다는 의지는 부족했다는 질책도 나왔다. 인양업체인 상하이샐비지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구멍을 뚫는 데 집착하지 않았느냐는 목소리까지 불거졌다.
더욱이 세월호 무게 추산치를 두고 해양수산부와 선체조사위가 서로 다른 값을 제시해 혼란이 더 커지고 있다. 김창준 선체조사위원장은 이날 “인양업체가 세월호 무게를 다시 재보니 1만4592t이었다. 당초 예상치 1만3462t보다 1130t 더 많다”고 말했다. 이어 모듈 트랜스포터를 더 추가하는 것이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7일까지 육상 거치가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를 들은 미수습자 가족들은 운반선 앞에서 해양수산부와 선체조사위가 무게 변동, 거치 연기 가능성 등 상황을 전혀 알리지 않았다며 항의 농성을 벌였다.
미수습자 가족들은 이날 “해양수산부와 선체조사위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수습 방안이 (상하이샐비지 쪽 비용을 아껴주기 위해) 상업적으로 결정됐다는 말까지 떠돌아다니고 있다”고 답답해했다. 4·16가족협의회는 “2년 동안 뭘 했는지 모르겠다. 무게를 줄인다고 참사의 원인을 밝혀줄 증거들을 자꾸 없애고 있다”고 비판했다. 단원고생 유민양의 아버지 김영오씨(48)씨는 “인양 과정에서 선체에 140개 넘는 구멍을 냈고, 인양 이후에도 수십 개의 구멍을 뚫었는데도 거치는 지연되고 있다”고 가슴을 쳤다.
이에 대해 이철조 세월호 현장수습본부장은 “계획된 공기 안에 인양을 안전하게 마칠 수 있도록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상하이샐비지의 재무적 손실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운반선 용선료나 운송장비 임차료는 알지 못한다”고 해명했다. 목포/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