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 지방채무 결산, 특·광역시 중 최저
재원 안에서 예산 편성, 지방채 발행 억제
재원 안에서 예산 편성, 지방채 발행 억제
대전시의 재정 건전성이 7대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는 행정자치부가 2016년 지방채무를 결산해 발표한 자료를 인용해, 예산 대비 채무비율이 13.3%(채무액 6470억원)로 전국의 특별시와 광역시 가운데 가장 낮았다고 17일 밝혔다. 이 자료를 보면, 울산이 14.4%(5461억원)로 대전의 뒤를 이었다. 이어 서울 17.8%(5조6967억원), 광주 21.5%(9555억원), 대구 21.5%(1조6429억원), 부산 21.9%(2조6343억원) 순이었다. 인천은 30.4%(2조8634억원)로 가장 높았다. 대전시 예산담당관실은 “광주·대구는 유니버시아드, 부산과 인천은 아시안게임 등을 개최해 채무 부담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7개 특·광역시의 시민 1인당 지방채 규모도 채무비율 차례와 같았다. 대전이 42만7천원으로 가장 낮았고, 울산 46만6천원, 서울 57만4천원, 광주 65만원, 대구 66만1천원, 부산 75만3천원, 인천 97만3천원 등이었다. 대전시는 사회간접자본, 사회복지, 문화체육, 상·하수도 시설 등 대규모 재정투자 수요에 대해 가용재원 범위에서 예산을 편성해 지방채 발행을 억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광수 시 예산담당관은 “중장기 계획에 따라 올해 발행하는 지방채는 지역개발공채를 포함해 1160억원 규모로 제한하는 대신, 고금리 지방채 145억원을 조기 상환하는 등 모두 1123억원을 갚아 재정 건전성을 유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