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생존권 담은 정책요구안 부산시에 전달
부산장애인부모회, 부산반빈곤센터 등 23개 장애인단체와 시민사회단체로 꾸려진 ‘2017 420장애인 차별철폐 부산공동투쟁단’은 17일 부산시청 앞에서 출범식을 열고 부산시에 장애인 정책요구안을 전달했다. 공동투쟁단은 정책요구안을 통해 부산시에 기존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운영비를 늘리고, 신규 장애인자립생활센터를 늘릴 것을 주문했다. 부산시는 올해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지원금 7억4800만원을 책정했는데, 이 지원금으로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 18곳의 인건비(4명 기준)도 제대로 지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공동투쟁단은 “장애인들이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등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생활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단계별로 지역사회에 돌려보내는 중장기적 로드맵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장애인의 생활 자립을 총괄하는 전담부서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고 부산시에 요구했다. 중증장애인들을 위해 24시간 활동보조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또 부산시에 장애인 콜택시 ‘두리발’ 이용요금 상한제 도입, 시내버스의 저상버스 보급률 100% 등 장애인 이동권 보장과 장애인 인권실태 조사, 인권교육 등 장애인 인권보장 시행계획 수립 등도 촉구했다.
최영아 공동투쟁단 집행위원장은 “장애인의 삶을 책임져야 할 주체는 개인이 아니라 정부와 지자체다. 2014·2015년 부산시청 앞 노숙 투쟁 등 해마다 장애인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 싸웠지만, 부산시는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장애인의 절박한 요구를 외면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장애인의 생존권을 담은 정책요구안을 반드시 내년 예산안에 편성해달라”고 말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300/180/imgdb/child/2024/0116/53_17053980971276_2024011650343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00/32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76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80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