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6만8천대 사는데 51억원…예산 낭비’
지능형 교통체계와 호환되는 새 방식 검토
지능형 교통체계와 호환되는 새 방식 검토
대전시가 근거리 전용통신(DSRC) 방식의 승용차요일제를 전면 개선하기로 했다.
대전시는 19일 승용차요일제에 참여한 차량에 무료로 제공하는 근거리 전용통신용 단말기를 추가로 사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시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단말기 2만6천대를 소진하면, 대전시 교통망인 지능형 교통체계(ITS)와 호환되는 새로운 단말기를 구입해 승용차요일제를 운용할 계획이다.
시가 승용차요일제 단말기 교체를 검토하는 것은 감사원이 ‘대전시의 근거리 전용통신 단말기는 대당 5만원선으로 다른 자치단체에 비해 너무 비싸 예산 낭비가 심하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감사원은 ‘다른 자치단체는 승용차가 운휴 날에 운행하는지를 가리는 패치형 감지기를 사용하며, 가격은 개당 800원 선이다. 사업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찾으라’고 권고했다.
시는 2012년 승용차요일제 참여 차량의 규정 준수운행와 각종 교통상황 집계 등을 이유로 근거리 전용통신 단말기를 사들였다. 1차로 하이패스 내장형 1만8천대를 산 데 이어 2014년 2차로 하이패스 내장형 1만5천대, 하이패스 제외형 3만5천대 등 모두 6만8천대를 샀다. 단말기 대당 가격은 평균 5만여원으로, 시는 단말기 구매와 교통통계 작성용 컴퓨터 구매 등에 모두 51억원을 썼다. 김창일 대전시 교통수요관리 담당은 “대전의 지능형 교통체계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돼 있다. 단말기 구매비를 줄여 승용차 요일제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