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월평공원(도솔산) 주변 시민들이 24일 대전시청 앞에서 대전시의 도시공원 개발 계획을 백지화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송인걸 기자
대전 월평공원(도솔산) 주변에서 마을공동체, 교육공동체 활동을 해온 시민들이 공원 개발에 반대하고 나섰다. 반면 지역경제단체들은 개발사업에 찬성하는 집회를 열어 찬반 논란이 커지고 있다.
대전마을교육공동체포럼·대전마을활동가포럼·대전마을어린이도서관협의회는 24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월평공원(도솔산)은 우리 아이들이 생태를 배우는 곳이자 대전의 한가운데에 자리 잡은 도심 숲으로,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을 정화하고 시민에게 쉼터를 제공하는 대전의 허파”라며 “이곳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조성하려는 대전시의 개발 계획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우리는 월평공원을 지키고 이웃의 삶터를 지키는 것이 신뢰의 마을공동체를 만드는 길이라고 믿는다. 대전시 도시공원위원회는 개발 계획을 백지화하라”고 촉구했다.
정은희 도솔산 대규모아파트 건설 저지 주민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은 “월평공원은 월평동·갈마동·변동·도마동·정림동으로 이어진 생태도시숲으로 2014년 전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숲에 선정됐다. 그런데 대전시는 공원에 2700여세대, 주변까지 포함하면 1만여세대의 아파트 단지를 만든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정 집행위원장은 “민간특례 개발 방식에 사업자 우선 제안 조건이어서 특혜 의혹도 나온다. 도시공원위원회가 두 차례 재심의 결정을 내렸지만, 대전시는 개발을 강행하려고 한다. 권선택 시장은 ‘시민이 행복한 시정’을 하라”고 주장했다. 시민 황유미씨는 “네 살배기 딸 가을이와 함께 (기자회견에) 왔다. 내년 5월에 태어날 둘째 봄이(태명)와 가을이가 월평공원에서 뛰어놀면서 자연을 배우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가을(맨 왼쪽)양이 24일 대전시청에서 열린 월평공원(도솔산) 개발사업 반대 기자회견을 지켜보고 있다. 송인걸 기자
지역 경제단체들은 사업 추진을 요구했다. 대전상공회의소 등 12개 지역 경제단체들이 참여한 대전세종충남 경제단체협의회는 지난 23일 같은 장소에서 ‘도시공원 조성사업 촉구 결의대회’를 열어 “도시공원 문제는 시 재정으로 해결할 수 없는 장기 과제이다. 사업을 추진해 침체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마중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전시 도시공원위원회는 26일 대전시청에서 제3차 회의를 열어 월평공원 개발 사업안을 심의한다. 위원회는 지난 5월과 7월 시의 사업안을 심의해 공공성, 시민 편익 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며 재심의를 결정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