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도시공원위원회가 열린 26일 오전 대전시청 앞에서 월평공원 개발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108배를 올리며 부결을 기원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공원위는 이날 월평공원 개발계획을 조건부 가결했다. 송인걸 기자
대전 도심 생태 축인 월평공원(도솔산)에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공원시설을 짓는 개발계획이 조건부로 가결됐다. 시민·환경단체가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서 개발 찬반 갈등이 깊어질 전망이다.
대전시 도시공원위원회는 26일 서구 월평공원 갈마지구 조성변경안(월평공원 민간특례사업)을 표결에 부쳐 조건부 가결했다. 이날 회의는 재적위원 21명 가운데 17명이 참석해 10명이 찬성했다. 6명은 반대, 1명은 기권했다.
시 도시공원위원회는 가결 조건으로 △구역 경계를 설정해 비공원 시설을 잘 조성하고 △월평공원 발전안 마련 △비공원시설 통경축 재검토 △월평공원 기본계획 수립 △절차적 측면에서 여론 수렴 및 홍보 강화 등을 제시했다. 시는 도시공원위의 조건부 가결안을 다음 달 열릴 예정인 시 도시계획위원회에 상정할 계획이다. 시 도시공원위원회는 월평공원 민간특례사업을 놓고 지난 5, 7월 두 차례 회의를 열어 공공성 강화 등 사업계획 보완을 요구하며 재심의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유승병 시 환경녹지국장은 “민간특례사업은 전국적인 사안으로 대전에서는 월평공원뿐 아니라 매봉공원 등 모두 43곳에서 개발계획이 추진되거나 행정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찬성과 반대 의견을 모두 넉넉하게 수렴하지 못했고 갈등을 풀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반대쪽 환경단체·주민을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시 도시공원위원회가 열린 26일 오전 대전시청 앞에서 월평공원 개발에 찬성하는 토지주 등 주민들이 개발계획 추진을 요구하고 있다. 송인걸 기자
대전마을교육공동체포럼·대전마을활동가포럼·대전마을어린이도서관협의회 등 주민단체, 대전충남녹색연합·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등 환경·시민단체 등은 일제히 “도시공원위원회의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 강력한 반대 운동을 펼치겠다”며 반발했다.
이들 단체는 “2020년 장기 미집행 공원시설 해제를 앞두고 다른 광역단체들은 국토이용에 관한 법률을 일부 개정해 국유지를 제외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네트워크를 꾸리는가 하면 임차제·세금 혜택 등 토지주에게 혜택을 주는 방안을 고민하는 데 비해 대전시는 민간특례사업을 추진하는 것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태도로 일관했다”고 비판했다. 문창기 도솔산 대규모아파트 건설 저지 시민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은 “민간특례사업은 공원을 조성한다는 명분을 앞세우지만, 실상은 대규모아파트 건설이 뼈대다. 민간특례사업을 백지화해 도심 녹지를 보존하는 투쟁을 벌이겠다”고 선언했다.
월평공원(도솔산)은 월평동·갈마동·변동·도마동·정림동에 걸쳐 있는 대전의 생태도심숲으로 800여종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어 2014년 전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숲에 선정되기도 했다. 주민·시민단체는 “대전시가 월평공원에 2700여 세대 규모의 아파트단지를 건설하는 것을 비롯해 뒤쪽 갑천변에 호수공원을 조성하는 대신 5천여 세대의 아파트단지를 짓는 등 주변에 모두 1만여 세대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만드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시민의 쉼터이자 대전의 허파인 월평공원을 지켜야 한다”며 계획에 반대해 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