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전남 친환경 농수축산물 유통센터 전남도의회 제공
전남도가 서울 강남에 세운 300억원 짜리 친환경 농수축산물 유통센터가 고사 위기를 맞고 있다.
권욱 전남도의회 의원은 6일 “수백억원을 들여 개장한 전남 친환경 농수산물 유통센터가 애초 목적을 전혀 이루지 못하고 임대 수익에 목줄을 대고 있다. 투자업체가 운영을 개선할 수 없다면 전남도가 인수해 활로를 찾으라”고 촉구했다. 권 의원은 “행정사무감사를 해보니 유통센터가 운영사에 유리한 협약 변경, 임대 보증금의 운영사 보유, 담당 부서 간 혼선 등 총체적인 관리부실이 드러났다”고 질타했다.
유통센터는 2012년 6월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에 217억원을 들여 지하 3층, 지상 5층, 건축면적 1682㎡, 연면적 1만2627㎡ 규모로 개점했다. 이곳에는 지하 1층에 슈퍼마켓, 1층에 전남산 농수축산물 판매장, 2층에 전남 공예품 판매장, 3층~5층에 사무실이 들어 있다. 핵심 시설인 농수축산물 판매장은 1층 면적 1512㎡의 절반가량인 842㎡를 차지한다.
유통센터는 전남도가 100억원을 들여 토지를 대고, 투자업체가 건물을 지은 뒤 소유권을 지자체에 넘긴 채 일정 기간 운영하는 수익형 민자사업(BTO) 방식으로 추진됐다. 운영은 투자업체가 세운 전남친환경농수축산물유통㈜이 2030년까지 18년 동안 맡기로 했다.
하지만 농수축산물 매출액은 첫해인 2012년 4억2000만원으로 반짝했다 2013년 1500만원, 2014년 1900만원, 2015년 1억6000만원, 지난해 8월까지 8700만원을 기록하는 등 저조하기 짝 없다. 애초 100% 전남산 농수축산물만을 판매한다던 협약도 운영사의 요구대로 5차례 개정돼 지난 1월 전남산 농수산물 60%, 일반 농산물 30%, 일반 공예품 10%로 바뀌었다. 건물 임대 보증금도 90%를 운영사가 보유하고, 10%만 금융기관에 유치해 금융사고가 발생하면 수습하기 어렵다. 이런 상황인데도 운영사는 임대 기간 연장이나 추가 비용 18억원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권 의원은 “시가 300억원이 넘는 유통센터에서 연간 1500만원, 1900만원의 매출을 내는 것이 말이 되느냐. 건물 얼굴인 1층에 오락실 미용실 등을 두는 운영이 설립 취지에 어긋나고, 매출 부진과 협약 개악 등을 해결할 의지도 없어 보인다”고 일갈했다.
전남도 쪽은 “면밀하게 대응하지 못했다. 운영 개선과 협약 개정 등에 관심을 갖고 대책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