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지역 상인들이 지난 2014년 11월 대전시청 앞에서 현대아웃렛 입점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대전경실련 제공
대전시가 용역 결과 보고를 인용해 대전 지역에 대규모 점포가 부족하다고 발표했다. 상인단체와 시민단체는 대규모 점포를 늘리기 위한 꼼수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대전시는 11일 ‘대규모 점포의 효율적인 종합관리 방안 연구과제’ 용역보고서를 공개했다. 대전세종연구원이 용역을 수행한 이 보고서를 보면, 백화점을 제외한 대규모 점포의 ‘균형 매장면적 구매수요’는 전국이 11%인데 견줘 충청권은 8.8% 수준이다. 또 보고서는 백화점의 균형 매장면적 구매수요는 전국 18.4%이지만 대전은 6.4%에 그쳐 상당히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수요 대비 매장면적을 뜻한다는 균형 매장면적 구매수요를 보면, 대전이 전국 평균에 못미친다는 것이다.
또 이 보고서는 대전 지역 서비스산업을 활성화해 유통산업 비중을 높이고, 대전권 주변 지역과 국내외 관광객까지 유치하는 유통 환경을 조성하려면 역세권 개발·터미널 조성 사업 등을 추진하면서 대규모 점포의 신규 입점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대전시는 이 용역 결과와 지역 상인 등의 여론을 수렴해 제4차 대규모 점포 5개년 관리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사실상 대규모 점포 신규 입점을 허용해야 한다는 취지다.
이에 대해 지역 상인들과 대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즉각 반발했다. 이들은 “이런 용역 결과는 대전시가 중소상권을 포기하겠다는 것에 다름없다. 대규모 점포 관리계획 용역 결과를 즉각 폐기하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은 “이번 용역은 대전뿐 아니라 전북 북부, 경북 북부, 충청권 일부 등을 포함해 수요를 예측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중소상인들은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고 있는데 시가 이런 용역 결과에 따라 대규모 점포 관리계획을 입안하려는 것은 대형매장을 허가하기 위한 꼼수”라고 비판했다. 구범림 대전상인연합회 회장은 “대규모 점포 입점 허가는 신중해야 한다. 지역 중소상권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심각하다”고 우려했다.
대전경실련은 성명을 내어 “대전은 대규모 점포 수와 면적이 전국 최상위권이어서 이미 골목상권이 붕괴하고 있다. 대전시가 대형유통점이 부족한 것처럼 결론을 낸 것은 대전시의 친대기업 정책을 추진하려는 명분을 만들기 위한 의도된 연구”라고 지적했다. 이광진 대전경실련 기획위원장은 “대전시는 지역 상품 구매 비율을 10%선으로 높이고 지역 기여도 관리대상 점포를 확대한다고 밝혔지만 현재 7%로 정해져 있는 구매 비율조차 지켜지지 않고 있는데 비율을 높인다고 지역 기여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기 어렵다. 대전시는 이 용역 결과를 폐기하고 중소상권 보호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