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행사 모두 부실 우려”
정관 개정·총감독 선임…문화부 난색
시민단체도 “디자인센터 구실 줄어” 비판 광주비엔날레재단이 오는 10월 창설할 디자인비엔날레를 위탁 운영하기로 정관을 개정했으나 행사의 부실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비엔날레재단은 이 행사를 지휘할 총감독을 선임하고 사실상 준비에 들어갔지만 문화부의 우려와 시민단체의 반대를 넘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 비엔날레재단이 디자인비엔날레 대행=비엔날레재단은 지난달 31일 이사회를 열고 디자인비엔날레를 광주시의 위탁 사업으로 치를 수 있도록 정관을 개정했다. 재단은 이런 절충안을 문화부에 보내 승인을 요청할 예정이다. 문화부는 지난달 3일 재단의 디자인비엔날레 주관에 대해 법인의 설립목적에 맞지 않고 정부의 재정보조 방침에 어긋난다며 난색을 표명했다. 또 “열달이 채 남지 않은 행사를 재단이 주관하면 2006년 광주비엔날레와 2005년 디자인비엔날레가 두루 부실화할 우려가 높다”는 우려도 보탰다. ◇ 총감독 뽑고 사실상 준비단계=재단은 이날 디자인비엔날레 총감독으로 이순종(52) 서울대 디자인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총감독은 “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예술의 영역과 산업의 영역을 두루 담겠다”며 “디자인의 모든 것과 디자인의 미래상을 표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문화부의 승인이 나는대로 △재단에 디자인전시부 구성 △구체적 실행계획 수립 △국내외 홍보 등을 추진한다.
광주시는 오는 10월 50억원을 들여 제1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를 연다는 방침을 세운 뒤 지난해부터 주관기관을 찾아왔다. 지난해 6월 광주를 21세기 디자인 도시로 육성하겠다고 선언하고 프레디자인비엔날레를 열었지만 마땅한 주관기관을 찾지 못해 여태껏 선정을 미뤄져왔다. ◇ 부적절한 밀어붙이기라는 비판=광주·전남지역 문화단체들은 재단의 디자인비엔날레 주관은 양대 행사의 부실화와 디자인센터 구실 축소 등 부작용을 초래한다고 걱정해왔다. 광주전남문화연대는 성명에서 “이 행사의 미래적 가치를 평가하고 검증하는 공개적 절차가 없었다”며 “특히 연말 500억원을 들여 완공할 디자인센터와 이 행사의 연관성을 찾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재단의 선출직 이사진들은 이날 정관 개정과 감독 선임을 의결한 뒤 임기를 마쳐 시기와 내용이 부적절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일부 문화계 인사들은 “임기만료 수시간 전에 중대한 결정을 하는 것이 절차상 흠결은 없더라도 문화적 공공성의 원칙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시민단체도 “디자인센터 구실 줄어” 비판 광주비엔날레재단이 오는 10월 창설할 디자인비엔날레를 위탁 운영하기로 정관을 개정했으나 행사의 부실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비엔날레재단은 이 행사를 지휘할 총감독을 선임하고 사실상 준비에 들어갔지만 문화부의 우려와 시민단체의 반대를 넘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 비엔날레재단이 디자인비엔날레 대행=비엔날레재단은 지난달 31일 이사회를 열고 디자인비엔날레를 광주시의 위탁 사업으로 치를 수 있도록 정관을 개정했다. 재단은 이런 절충안을 문화부에 보내 승인을 요청할 예정이다. 문화부는 지난달 3일 재단의 디자인비엔날레 주관에 대해 법인의 설립목적에 맞지 않고 정부의 재정보조 방침에 어긋난다며 난색을 표명했다. 또 “열달이 채 남지 않은 행사를 재단이 주관하면 2006년 광주비엔날레와 2005년 디자인비엔날레가 두루 부실화할 우려가 높다”는 우려도 보탰다. ◇ 총감독 뽑고 사실상 준비단계=재단은 이날 디자인비엔날레 총감독으로 이순종(52) 서울대 디자인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총감독은 “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예술의 영역과 산업의 영역을 두루 담겠다”며 “디자인의 모든 것과 디자인의 미래상을 표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문화부의 승인이 나는대로 △재단에 디자인전시부 구성 △구체적 실행계획 수립 △국내외 홍보 등을 추진한다.
광주시는 오는 10월 50억원을 들여 제1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를 연다는 방침을 세운 뒤 지난해부터 주관기관을 찾아왔다. 지난해 6월 광주를 21세기 디자인 도시로 육성하겠다고 선언하고 프레디자인비엔날레를 열었지만 마땅한 주관기관을 찾지 못해 여태껏 선정을 미뤄져왔다. ◇ 부적절한 밀어붙이기라는 비판=광주·전남지역 문화단체들은 재단의 디자인비엔날레 주관은 양대 행사의 부실화와 디자인센터 구실 축소 등 부작용을 초래한다고 걱정해왔다. 광주전남문화연대는 성명에서 “이 행사의 미래적 가치를 평가하고 검증하는 공개적 절차가 없었다”며 “특히 연말 500억원을 들여 완공할 디자인센터와 이 행사의 연관성을 찾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재단의 선출직 이사진들은 이날 정관 개정과 감독 선임을 의결한 뒤 임기를 마쳐 시기와 내용이 부적절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일부 문화계 인사들은 “임기만료 수시간 전에 중대한 결정을 하는 것이 절차상 흠결은 없더라도 문화적 공공성의 원칙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