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기장군 일광1초등학교 조감도. 부산시교육청 제공
앞으로 부산의 학교는 획일적인 일자형과 사각형 모양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창의적인 모양으로 짓는다.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21일 교육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앞으로 신·개축 학교는 아이들의 눈높이와 학교 특성에 맞춰 새롭고 다양한 형태로 짓겠다. 학교와 내부공간의 디자인 혁신을 통해 교육시설의 질적 수준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미래교육을 위한 창의적인 학습공간을 확보하겠다는 것인데 시교육청은 건축설계를 공모하기 전에 지침서를 마련해 설계기획단계에서부터 일자형과 사각형으로 짓지 않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또 지하 1층에 지진 등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학생과 교직원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대피시설을 만들고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5등급 기준에 적합한 에너지 절약형으로 짓도록 할 방침이다.
부산 강서구 명지4초등학교 조감도. 부산시교육청 제공
부산 강서구 명지2중학교 조감도. 부산시교육청 제공
이런 지침에 따라 2020년 3월 개교 예정인 3개 학교의 건축설계 공모에서 당선된 작품을 보면 일광1초등학교는 모든 교실이 남향인 지하 1층·지상 5층 건물 2채와 강당, 초등학교 옆에 지하 1층·지상 3층 유치원이 들어선다. 명지4초등학교는 운동장 쪽으로부터 1~2학년, 3~4학년, 5~6학년 교실이 차례로 들어선다. 저층 다가구주택이 몰려있는 마을을 연상한다. 명지2중학교는 지하 1층·지상 5층 건물 2채와 강당이 들어서며 학생들이 상상력을 키우는 창의적 학습공간을 층별로 배치하고 중앙 2~3층을 독서실로 꾸몄다.
부산시교육청은 4월 당선작 3편을 대상으로 설계심의위원회를 열어 실시설계안을 확정하고 올해 11월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