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과학원 이제완 박사가 해독한 한국 토종 물들메나무의 엽록체 DNA 유전자지도, 전체 15만5571bp 길이에 132개의 유전자로 구성돼 있다. 산림과학원 제공
국내 토종인 물들메나무는 132개의 유전자를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이창재)은 21일 물들메나무의 엽록체 데옥시리보핵산(DNA) 유전자지도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해독했다고 밝혔다. 산림과학원의 발표 자료를 보면, 물들메나무의 엽록체 DNA는 전체 길이가 15만5571 bp(베이스 페어, 유전자를 구성하는 DNA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이고 총 132개의 유전자로 이뤄졌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미토콘드리얼 DNA> 최신호에 게재됐다.
물들메나무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의 키 큰 나무로 덕유산·지리산 등 일부 지역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한국 고유식물이다. 이 나무는 분포가 한정돼있고 개체 수가 적어 세계자연보존연맹(IUCN)의 멸종 위기 적색목록에 올라 있다.
물들메나무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의 키 큰 나무로, 세계에서 덕유산과 지리산 등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토종 식물이다. 산림과학원 제공
물푸레나무과 물들메나무, 들메나무, 물푸레나무, 쇠물푸레나무(왼쪽부터)의 겨울눈의 모습. 물들메나무의 겨울눈은 다른 나무와 비교해 껍질이 없다. 산림과학원 제공
산림과학원은 “엽록체 DNA는 빛과 물, 이산화탄소로 광합성 작용을 해 식물의 생존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 연구 성과는 물들메나무의 식물학적 진화 과정을 밝히고 광합성 정보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이제완 박사는 “최근 기후 변화로 생존에 위협을 받는 나무들이 늘어나고 있다. 유전자지도를 해독해 토종 생물 주권을 확보하는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