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특구 주민들로 꾸려진 매봉산지킴이들이 매봉산에서 가족 피크닉을 마친뒤 개발 반대를 촉구하고 있다. 매봉산지킴이 제공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매봉근린공원 민간특례사업이 조건부 승인됐다. 이 사업을 반대해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노조 등 대덕특구 구성원들은 매봉산 지키기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대전시는 22일 도시공원위원회가 매봉근린공원 특례사업에 대해 3차 심의를 해 조건부 가결했다고 23일 밝혔다. 민간사업자인 매봉파크피에프브이㈜는 이날 2차 심의 당시 28동 450세대이던 비공원 시설(아파트)을 15동 436세대로 줄인 계획서를 제출했다. 이 회사는 2차 심의 당시 7만9235㎡이던 비공원 시설 부지를 6만4864㎡로 축소하는 대신 공원시설 면적을 27만5671㎡에서 29만42㎡로 확대하고 생태축 폭도 105m에서 255m로 보완했다.
이에 대해 도시공원위원회는 △비공원 시설의 구역계 유지 △비공원 시설안 단지계획 검토를 통한 하단부 옹벽 완화 및 경관 개선 △생태복원계획 및 시설물 배치 등 공원 조성을 위한 전문분야 부문에 대해 소위원회를 꾸려 심의하는 것 등을 조건부로 가결 처리했다.
도시공원위원회는 조건부 가결 내용을 바탕으로 비공원 시설에 대한 세부계획을 세워 도시계획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김추자 대전시 환경녹지국장은 “매봉공원 조성 계획은 2020년 도시공원 일몰제에 대비해 더 큰 막개발을 예방해 연구원 주변의 연구환경을 개선하고 주민의 쾌적한 정주환경을 위한 것이다. 연구기관 등의 의견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및 관련 기관과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개발계획이 승인되자 대덕특구의 매봉산지킴이, 정부출연 연구기관 노조 등 매봉산 개발계획 백지화를 요구해온 시민·단체들은 “대전시가 대덕특구의 특성과 여론을 무시하고 아파트촌을 건설하고 있다”며 강력한 투쟁을 경고했다.
한주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노조위원장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연서명하고 주민이 인간 띠 잇기를 하는 등 매봉산 개발 반대를 하고 있으나 대전시는 아파트 건설을 허가하는 데 혈안이 돼 있다”며 “대덕특구는 과학도시 대전의 랜드마크이므로 대전시가 앞장서 환경을 지켜야 하는데 도시공원 일몰제를 명분 삼아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지어 환경을 망가뜨리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매봉파크피에프브이㈜는 올해부터 2020년까지 2263억원을 들여 대덕특구인 유성구 가정동 산 8-20번지 일대 매봉산 35만4906㎡ 가운데 6만4864㎡에 8~12층 규모의 아파트 436세대를 짓는 것을 뼈대로 하는 민간특례사업을 추진해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