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저지 사회공공성강화 대전공동행동은 12일 오전 대전역 동광장 코레일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안전한 철도를 위해 코레일과 에스알을 통합하라”고 촉구했다. 송인걸 기자
대전지역 72개 시민사회단체가 꾸린 민영화저지 사회공공성강화 대전공동행동은 12일 오전 대전역 동광장 코레일 사옥 앞에서 ‘안전한 철도를 위한 코레일과 에스알 통합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영화저지 사회공공성강화 대전공동행동은 “철도 분리는 2013년 박근혜 정부가 경쟁체제를 도입하면 요금은 낮추고 대국민서비스 수준은 높아지며 만년 적자인 철도 경영도 개선될 것이라며 수서발 고속철도 분할 민영화를 일방적으로 추진해 이뤄졌다”고 밝혔다.
대전공동행동은 “철도 경쟁체제는 신자유주의를 신봉하던 박근혜 정부 관료들의 대기업 배불리기 정책에 불과했다. 에스알의 수익이 오를수록 일반철도를 운행하는 코레일의 적자는 눈덩이처럼 불어나 산간벽지 노선이 줄어드는 등 철도 공공성을 위협하는 지경에 놓였다”고 비판했다.
이 단체는 “전문가들은 코레일과 에스알을 통합하면 하루 평균 고속열차 운행이 46회 늘어 이용객을 3만여명 늘릴 수 있고, 연간 260억원의 중복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요금도 10%가량 인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며 “정부는 통일대륙철도 시대를 대비해 한국 철도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최선의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광진 경실련 조직위원장은 “철도는 국민 안전과 직결된 공공재이므로 일부의 이해관계에 따라 국민이 고통·불편을 겪어서는 안 된다. 공익과 안전은 국가의 책임이므로 분리한 고속철을 통합하는 것도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대전역 동광장 코레일 사옥 앞에서 12일 오전 시민들이 코레일과 에스알 통합을 요구하는 서명을 하고 있다. 송인걸 기자
전국철도노조는 이날 철도 공공성을 확대하고 철도산업의 공공적 발전 전망을 세우기 위한 ‘고속철도 하나로’ 운동을 제안했다. 철도노조는 “하나 된 고속철도 운영을 통해 모든 국민이 더 많은 혜택을 누려야 한다. 철도는 특정 기업 또는 이윤추구 집단의 이익을 위한 수단이 아니며 국민의 보편적 이동권을 위해 철도 공공성을 유지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