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단체들이 10일 포스코 광양제철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의 노동안전보건체계를 전면 재점검하라고 요구했다. 금속노조 포스코 사내하청지회 제공
포스코에서 최근 비정규직 산재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노동단체들이 포스코 광양제철소의 특별근로감독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남지역본부와 광양시지부, 금속노조 포스코 사내하청지회 등은 10일 포스코 광양제철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의 무성의한 산업안전보건체계 탓에 이렇게 꼼짝없이 현장에서 죽을 순 없다”고 호소했다. 이들은 “고용노동부는 노동자의 건강보다 기업의 이윤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는 포스코의 노동안전보건체계를 더 늦기 전에 전면 재검검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광양제철소 전체 공정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특별근로감독을 시행하고, 종합진단명령을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생한 사망 사고와 관련해 원청인 ㈜포스코와 광양제철소장, 하청인 ㅋ업체와 대표이사를 형사 처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날 고용노동부 여수지청을 방문해 이런 요구를 전달했다. 이어 오는 13일 서울 포스코센터 앞에서 특별근로감독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열기로 했다.
경비절감 구호가 높은 포스코에서는 최근 비정규직들이 산재를 당하는 일들이 잇따라 일어났다.
광양제철소에서는 올해 들어서만도 비정규직 3명이 산재 사고를 당했다. 지난 6월30일에는 협력업체 노동자 ㄱ(39)씨가 2제강공장 철강 반제품 라인에서 작업 도중 숨졌다. ㄱ씨는 당시 크레인 바구니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다 3t짜리 장비에 끼었다. ㄱ씨의 주검은 유족과 업체의 합의가 늦어지면서 열흘째 장례식장에 머물고 있다. 지난 4월2일에는 제철소 안에 있는 협력업체 ㅂ산업의 저장탱크 안에서 노동자 ㄴ(47)씨가 작업 도중 손가락 4개가 절단되는 사고를 당했다. 앞서 지난 3월 중순에도 제철소 원료부두에서 협력업체 노동자 ㄷ(45)씨가 흙더미에 맞아 어깨에 중상을 입었다.
포항제철소에서는 지난 1월25일 협력업체 노동자 4명이 질소가스에 질식해 숨지는 중대 재해가 터졌다. 고용노동부 포항지청이 12일 동안 특별근로감독을 벌여 사법처리 414건, 과태료 146건 5억2935만원, 작업중지 10곳, 사용중지 25대, 시정지시 725건 등을 적발했다.
양동운 포스코 사내하청지회 부지회장은 “‘위험의 외주화’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비정규직은 절반의 임금으로 온갖 위험한 일들을 도맡아야 한다. 우리도 똑같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하고 싶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