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나주 송죽리 소각장 반대대책위원회는 12일 나주시청 앞에서 산업폐기물 소각장 설치를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소각장 반대대책위 제공
영산강 중류의 청정마을에 축산·건축·산업 폐기물 처리시설이 잇따라 들어서자 주민들이 발끈하고 나섰다.
전남 나주 송죽리 소각장 반대대책위원회는 12일 나주시청 앞에서 스티로폼 비닐 고무 등 산업폐기물을 소각해 처리하는 시설의 설치를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대책위는 “소각장은 왕곡뿐 아니라 공산·다시면 지역 환경권과 주민 건강권을 해칠 것으로 우려한다. 군민이 연대해 소각장 설치를 끝까지 저지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날 집회에는 소각장 영향권에 있는 왕곡·공산·다시 등 3개 면의 농민회, 이장단, 자치회 등 모두 150여명이 참여했다. 대책위는 여태껏 주민 500여명한테 받은 소각장 설치 반대 서명을 나주시와 시의회에 전달했다.
소각장 예정터인 나주시 왕곡면 송죽리는 영산강 죽산보에서 직선거리로 700m쯤 떨어진 곳이다. 이 마을에선 150가구 200여명이 농사로 생계를 잇고 있다. 평야지대에선 찾기 어려운 숲이 우거진 산이 있고, 산 계곡엔 주민들이 미역을 감고 새참을 먹던 어성제가 만들어져 농업용수가 풍부했다.
전남 나주시 왕곡면 송죽리 산업폐기물 소각장 예정터(사진 중간의 야산 개발지)
하지만 이 마을은 1997년 건축 현장의 콘크리트 등을 처리하는 재활용업체가 들어서고, 2005년 축산 분뇨와 부산물 처리업체가 자리를 잡으면서 정주환경이 급속하게 파괴됐다. 나주시는 흐린 날이면 축분 악취와 약품 냄새가 진동하고, 폐건축물 조각과 부산물 찌꺼기가 하천에 흘러들어도 거의 관리·감독을 하지 않았다. 오히려 축산·건축 폐기물 처리용량을 늘려주고, 토석 채취 허가를 추가로 내주는 등 반대 방향으로 나갔다.
이어 나주시는 2014년 9월 이곳에 하루 72t 처리용량의 산업폐기물 소각장을 조건부로 허용했다 석 달 만에 용량이 과다하고 반대가 심하다는 이유로 반려했다. 업체는 이듬해 소송을 냈고 1심에선 나주시, 2·3심에선 업체가 각각 승소했다. 승소한 업체가 지난달 12일 허가를 신청하면서 소각장을 둘러싼 대립이 뜨거워졌다.
송죽리 3구 김진철(73) 이장은 “파리떼가 창궐하고 저수지가 썩어가는 등 마을이 완전히 망가졌다. 촛불시위와 서명운동 등으로 소각장을 막겠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