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전 충남 당진 송악면 고대2, 한진1·2리 주민 150여명이 동국제철 고철야적장 앞에서 라돈 매트리스 현지 해체에 반대하고 있다. 이들은 야적장 인근 4개 마을 가운데 해체를 허용한 것은 고대1리일뿐 다른 3개 마을의 입장이 반영된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최재영 당진 한진1리 이장 제공
충남 당진항의 라돈 매트리스 현지 해체 처리계획이 주민 반발로 차질을 빚고 있다.
당진시 고대2, 한진1·2리 등 3개 마을주민 150여명은 23일 오전 9시 당진 동국제철 앞 고철야적장 입구를 가로막고 “정부와 대진침대는 지난 6월 체결한 ‘이행협약서’를 지켜라. 야적장에서 라돈 매트리스 해체를 허용한 고대1리와 합의는 무효”라고 주장했다. 이들 3개 마을은 야적장과 직선거리로 1~2㎞에 있으며, 지난달 라돈 매트리스가 들어오자 고대1리와 함께 추가 반입을 저지하고 매트리스 반출 투쟁을 해 왔다.
3개 마을주민은 “지난주에 야적장 현지에서 매트리스 해체를 허용한 이들은 고대1리 주민일 뿐이다. 야적장 인근 3개 마을주민의 의견은 정부가 이행협약서의 내용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행협약서는 △야적장에서 분리·폐기 작업 금지 △매트리스를 타 지역으로 이송 △국무조정실·원자력안전위·당진시는 협약 이행 및 주민 안전 노력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매트리스 이송 때까지 안전 총괄 책임 등 4개 항으로 이뤄져 있으며, 지난달 22일 주민대표·대진침대·국무조정실·원자력안전위원회·당진시가 서명했다.
최재영 당진 한진1리 이장은 “정부는 고대1리와 해체 등에 합의했을 뿐, 다른 3개 마을에는 일언반구도 없었다. 매트리스 들여올 때도 주민에게 양해를 구한 적 없는데 이런 정부를 믿겠냐”며 “정부는 지난 18일 뒤늦게 설명회를 연다고 했으나 일방적인 통보에 불과해 거부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30일부터 해체 작업이 예정돼 있던 라돈 매트리스 처리 일정은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천안 대진침대 공장에 보관 중인 라돈 매트리스 처리와 관련한 주민 협의도 큰 진전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고대1리 주민이 16일 총회에서 해체를 허용하자 20일부터 작업할 계획이었으나, 인근 상록초등학교 학부모들이 여름방학을 시작하는 27일 이후로 해체를 연기해달라고 요구해 미룬 바 있다. 당진시 관계자는 “국무조정실·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함께 3개 마을주민과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