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26일 연 공공교통 심포지엄에서 한대희 대전시 교통전문연구실장이 공공교통의 필요성을 발표하고 있다. 송인걸 기자
“나 홀로 승용차 60대 승객을 버스 1대로 수송할 수 있다. 승용차 60대가 차지하는 공간엔 자전거 600대가 다닐 수 있다.”
대중교통의 수단을 확대하고 공간을 공유하는 공공교통 심포지엄이 26일 오후 대전시청에서 열렸다. 대전시와 한국교통연구원, 대한교통학회가 함께 연 이날 심포지엄은 불편하고 단절된 현재 대중교통 체계를 친절하고 편리한 스마트 교통체계로 개선하는 대안을 찾기 위해 열렸다.
발제에 나선 교통 전문가들은 대중교통에 또 다른 이동 수단인 택시, 자전거, 장애인 콜택시 등을 포함하고 안전과 편리성을 높여 교통기본권을 보장하는 공공교통 정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6일 대전시청에서 열린 공공교통 심포지엄에서 토론자들이 교통기본권 강화, 시민참여형 교통정책 방안 등을 제안하고 있다. 송인걸 기자
모창환 한국교통연구원 광역교통행정팀장은 주제 발표에서 “공공교통은 공공부문이 개입해 제공하는 교통서비스다. 국가·지방정부가 시민의 교통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해 공공교통 수단의 우선 통행 등 필요한 조처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모 팀장은 “공공교통엔 택시, 공공자전거, 공공자동차 등 교통서비스와 화물 운송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한대희 대전시 교통전문연구실장은 “공공교통이 정착한 유럽 선진도시에선 대중교통과 연계교통이 발달해 승용차가 없어도 생활이 불편하지 않다. 또 경관과 건축물, 공공 교통을 강조하고 사람을 중시한다. 교통기본권을 강화하려면 시민이 교통 정책을 개선하는 주체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 실장은 이어 “보행, 자전거, 특별교통수단, 대중교통, 연계교통을 활성화하고 교통 취약지와 교통 약자를 배려하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대전시 교통건설국 공무원들이 지난 3월 대전의 새로운 교통정책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이어진 토론에서 최기주 대한교통학회장(아주대 교수)은 “공공교통이 활성화하면 사고는 줄어들고 교통수단 접근성, 이동 편리성, 시민 만족도는 높아진다. 대전시의 공공교통 제안은 교통 분야를 인프라 건설 위주에서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꾀하는 의미 있는 시도”라고 평가했다.
양승찬 대전시 교통건설국장은 “대전을 전국적인 공공교통 모델 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