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가 11일 제주도청 2청사에서 제주 제2공항 입지선정 타당성 재조사 1차 중간보고회를 열고 있다. 허호준 기자
첨예한 논란을 빚고 있는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과 관련해 국토교통부와 반대주민들이 서로 간에 입지선정 타당성 재조사 용역을 모니터링하고 검토할 검토위원회 구성에 합의했다.
국토부와 제주 제2공항 반대 성산읍대책위원회(이하 반대위)는 11일 오전 제주도청 2청사에서 국토부가 아주대 산학협력단에 맡겨 용역 중인 ‘제주 제2공항 입지선정 타당성 재조사’ 용역 1차 중간보고회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내용의 합의 사실을 발표했다. 앞서 중간보고회 개최를 둘러싸고 물리적 충돌까지 우려됐으나, 양쪽은 지난 10일 오후 1시부터 오후 9시30분까지 이어진 마라톤협상 끝에 검토위원회 구성에 합의했다.
이날 회견에는 김용석 국토부 공항항행정책관과 강원보 반대위 집행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타당성 재조사 용역을 검토할 검토위원회는 오는 16일까지 반대위와 국토부에서 각 6명을 추천해 모두 12명으로 구성하기로 했다. 또 위원 선정 결과와 구성방향, 추진일정 등 검토위원회 구성계획에 대한 브리핑은 오는 17일 실시하며, 18일 또는 19일에 1차 회의를 열기로 했다.
이와 함께 이날 열리는 중간보고회는 1차 보고회로 정해 검토 중인 쟁점사항 현황에 대해서만 발표하는 것으로 했다. 2차 (종합)중간보고회는 검토위가 일정을 결정한 뒤 나중에 열기로 했다. 또 용역기간 연장문제에 대해서는 추가 협의하기로 했다. 반대위 쪽은 재조사 용역을 2개월 정도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국토부는 1개월 연장을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중간보고회에서는 재조사 용역을 맡은 아주대 산학합력단의 오세창 교수가 2공항 선정 관련 쟁점사항으로 △주민의견 수렴 과정 없는 입지선정 문제 △인프라 확충 대안 비교검토 부족 △공항 이원화에 따른 문제점 분석 미흡 △사전타당성 조사의 용역범위 초과 등을 거론했다. 오 교수는 앞으로 △소음피해 △동굴 영향 분석 미흡 △철새 도래지 간섭 및 영향 △군 공항 이용 우려 △오름 훼손 가능성 등을 중점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오 교수는 “지하동굴 부분은 별개로 용역 중이어서 용역결과를 수용하고, 군 공항 이용 문제는 국토부의 입장을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