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은 12일까지 사학들을 대상으로 내년도 신규교사 수요조사를 진행한다.
광주지역 사학들이 잇따른 채용 말썽에도 기존 채용 방침을 고수하면서 눈총을 받고 있다.
광주교사노동조합은 11일 성명을 내고 “광주사학법인협의회는 신규교사 채용전형 일체를 광주시교육청에 조건 없이 위탁하라. 이는 시교육청의 제안이 아니라 광주시민의 명령”이라고 밝혔다. 광주교사노조는 “광주 사학에서 교사채용 비리와 시험지 유출 등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시민의 시선이 싸늘해졌다. 공정한 신규교사 채용에 동참해 실추된 명예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교육청은 시민을 믿고 신규교사 위탁채용을 관철해야 한다. 온갖 부조리로 눈총을 받아온 사학들에 끌려다니는 것은 시민의 기대를 저버리는 일”이라고 당부했다.
시교육청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사학협의회의 결정이 억지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재남 시교육청 정책기획관은 "여러 차례 설득에도 사학들이 이사장 인사권 침해를 이유로 거부 결정을 내린 데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광주사학법인협의회는 전날 모임에서 시교육청의 위탁채용 방안을 사실상 거부했다. 사학협의회는 “1차 필기시험의 날짜, 2차 수업시험 때 시교육청 추천인사 참여 등을 수용했다. 하지만 3차 면접시험 때도 시교육청 추천인사를 포함하라고 요구한다”고 반박했다. 또 “교사 위탁채용은 전국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다. 건학이념에 맞는 교사를 선발하기 위해 3차 면접은 사학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시교육청과 사학협의회는 내년도 사립학교 신규교사 위탁채용안을 마련해 합의에 접근했다. 필기시험에선 전공과목만 치러 선발인원의 3~5배수를 뽑기로 했다. 수업시험에선 평가위원 5명 중 1명을 시교육청에서 추천하기로 했다. 하지만 면접시험의 평가위원 5명 중 1명을 시교육청이 추천하는 안건에서 이견이 나왔다. 시교육청은 전형 전반의 투명성을 확보하려 했고, 사학협의회는 최종 선발 때 건학이념을 반영해야 한다고 맞섰다.
시교육청은 협상이 깨지면 사학협의회를 배제한 뒤 개별 사학을 대상으로 위탁채용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12일까지 내년도에 필요한 신규교사 숫자를 사학별로 조사한다. 지난해에도 비슷한 진통을 겪은 끝에 6개 사학이 교사 18명의 채용을 시교육청에 맡겼다.
국회 교육위 김해영 의원은 최근 광주지역 사학법인 37곳 중 14곳에서 초·중·고 교사나 행정실 직원 25명을 이사장의 아들딸이나 6촌 이내 친인척으로 뽑았다고 밝히며 채용 절차의 개선을 촉구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