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 매트리스 당진시민대책위원회가 2일 당진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동부부두에 야적된 라돈 매트리스의 현장 해체에 반대한다. 정부·충남도·당진시는 파렴치한 기업의 횡포에 피해를 보고 있는 시민을 보호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라돈 매트리스 당진시민대책위원회 제공
충남 당진항에 야적된 라돈 매트리스를 생산업체인 대진침대가 현장 해체하려 하자 주민과 지역 시민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당진지역 시민·환경·사회·교육·정당 등 15개 단체로 꾸려진 라돈 매트리스 당진시민대책위원회는 2일 당진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동부부두에 야적된 라돈 매트리스의 현장 해체에 반대한다. 정부·충남도·당진시는 파렴치한 기업의 횡포에 피해를 보고 있는 시민을 보호하라”고 촉구했다.
라돈 매트리스 당진시민대책위는 “대진침대가 지난 6월16일 연고도 없는 당진에 주민 몰래 라돈 매트리스 1만6900개를 반입하더니 이제는 주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현장 해체를 강행하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지난 30일 대진침대 쪽에서 주민에게 1일부터 현장 해체를 하겠다고 통보하더니 1일부터 대진침대 고용 직원으로 보이는 10명이 야적장에서 상주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라돈 매트리스 사태는 위험 물질인 모나자이트를 사용해 매트리스를 만든 대진침대, 이를 허용한 정부가 장본인이다. 이들은 라돈이 검출돼 사회 이슈가 된 문제의 매트리스를 당진항으로 몰래 들여온 주체이기도 하다”며 “이들은 지난 6월22일 반입한 매트리스를 모두 반출해 처리하기로 주민과 협약했으나 약속을 지키지 않고 지역 주민 때문에 라돈 매트리스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것처럼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한국원자력안전위원회와 대진침대는 위험하지 않으니 현장에서 해체하자는 태도지만 충남도와 당진시는 주민이 반대하면 해체할 수 없다고 한다”며 “그러나 도와 시는 라돈 매트리스가 반입되고 109일 동안 방관해 왔다. 주민 안전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배정화 라돈 매트리스 당진시민대책위원회 공동대표는 “정부와 대진침대는 라돈 매트리스 현장 해체 방침을 즉각 철회하고 이행협약서에 따라 라돈 매트리스를 반출하기로 한 주민과의 약속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라돈 매트리스는 전국에서 모두 5만1천여개가 수거됐으며, 당진항의 1만6900개를 제외한 3만4천여개는 대부분 해체됐거나 해체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