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탈핵부산시민연대가 신고리 3·4호기 백지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부산의 반핵단체가 핵발전소의 원자로 격납건물 공극(빈 공간)이 발견돼 안전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것과 관련해 신고리 3·4호 백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탈핵부산시민연대는 18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핵발전소에서 방사선 유출을 막는 방호벽 구실을 하는 격납건물에 공극이 발견됐다. 더는 신고리 3호기 가동을 지켜볼 수 없다. 또 원자력안전위원회 심사를 앞둔 신고리 4호기의 운영 승인 역시 받아들일 수 없다. 신고리 3·4호기를 즉각 백지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탈핵부산연대는 “지난해 8월 한국전력 컨소시엄이 아랍에미리트에서 짓고 있는 핵발전소 격납건물에서 공극이 발견돼 현재 보수공사가 진행 중이다. 노후 핵발전소가 아니라 건설 중인 새 핵발전소의 격납건물에서 공극이 발견된 것이다. 신고리 3·4호기는 아랍에미리트 핵발전소 수출 모델이 된 발전소다. 신고리 3·4호기의 부실시공까지 의심되는 정황”이라고 주장했다. 아랍에미리트의 핵발전소는 최신 모델 에이피아르(APR)1400인데, 이 모델은 신고리 3·4·5·6호기와 신한울 1·2호기에 적용돼 있다.
탈핵부산연대는 또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반핵단체와 시민 등에게 신고리 3·4호기 가동중단과 전면 재검토를 약속했다. 당선 뒤에도 ‘탈핵 시대’를 선언했다. 하지만, 신고리 3호기는 이미 가동을, 신고리 4호기는 본격 운영을 눈앞에 두고 있다. 신고리 5·6호기 건설도 공론화라는 절차를 거쳐 그대로 진행되고 있다. 날 선 목소리를 내야 하는 부산시는 정부와 여당 눈치를 보는지 핵발전소 문제에서 존재감을 찾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남영란 사회변혁노동자당 부산시당 집행위원장은 “시민들은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를 잊지 말자고 계속 외치고 있지만, 정부 등의 고민은 찾아볼 수 없다. 핵발전소의 안전성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핵의 위험에서 벗어나 안전한 사회로 나가야 한다. 완전한 탈핵 시대를 위해 시민들이 다시 힘을 모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글·사진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