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원도심 역세권의 용적률을 조정하는 원도심 살리기 시책을 추진한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대전시가 원도심 주상복합건물의 용적률을 크게 완화하기로 했다. 쇠락한 원도심을 되살리는 계기가 될지 관심을 끈다.
대전시는 원도심의 주거 기능을 강화하고 건설 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해 원도심 도시철도 역세권 주변의 주상복합건물 주택 용적률을 1100%까지 높일 방침이라고 31일 밝혔다. 대상 지역은 도시철도 1호선 대동역, 대전역, 중앙로역, 중구청역, 서대전역, 오룡역, 용문역 등 원도심 지역과 대전복합터미널 주변이다. 현재 이들 지역의 용적률은 750%다.
시는 용적률 조정으로 발생하는 개발 이익은 50%를 공공 영역에 제공해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시는 약 25%는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소형주택(60㎡ 이하)으로 기부채납하고, 나머지 25%는 시가 사들이거나 민간 사업자가 8년 이상 임대한 뒤 분양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시는 이 조처가 시행되면 2000세대 이상의 주택이 공급되고 300세대 정도는 청년·신혼부부, 300세대 정도는 저소득층 임대주택으로 각각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민간 건설 경기가 활성화되면 생산파급 효과는 1조5000억원, 부가가치 파급효과도 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시는 다음 달 열리는 시의회 정례회에 관련 조례 개정안을 상정하고 통과되면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정무호 대전시 도시주택국장은 “원도심 상업지역은 그동안 용도에 따라 용적률이 다른 용도용적제가 적용돼 민간 투자가 위축되고 빈 상가가 증가하는 원인이 됐다”며 “용적률 조정 조처는 민선 7기 허태정 시장이 공약한 ‘드림하우징 3000호’의 한 축을 이루는 청년·신혼부부의 주거난을 해소하는 것은 물론 지역 건설 경기 활성화를 이끌어 3만여명의 취업 유발 및 고용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