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 각종 위원회는 141개입니다. 맞죠? 그런데 56개는 올해 한차례도 안 열렸네요?”
7일 대전시 경제과학국 행정 사무감사에 나선 오광영(53) 대전시의원은 대전시 위원회의 10개 가운데 4개는 있으나마나 한 위원회라고 질타했다. 초선의원으로 나선 첫 행정 감사였지만 질의는 날카로웠다.
“꼭 필요한 게 아니면 통합해야죠. 그런데 연간 1회 열도록 조례로 규정하고 있는 로컬푸드위원회도 2년 동안 열리지 않았네요? 이유가 뭡니까?” 질의가 이어질 때마다 시 공무원들은 “고치겠다”, “개선하겠다”고 답변했다. 방청하던 시민들은 “속이 시원하다”며 응원하기도 했다.
오 의원은 지난 6월 지방선거에서 유성 2선거구에 시의원으로 출마해 당선했다. 정치는 새내기지만 지역사회에서는 든든한 일꾼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이른바 386세대인 그는 대전 배재대에 입학해 민주화운동에 헌신했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집행위원, 품앗이생활협동조합 이사, 한겨레신문 출판미디어국 대전지사장으로 활동했다. 오 의원은 현재 대전충남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이사, 국민주권실현 적폐청산 대전운동본부 공동대표, 유성보건의료심의위원회 운영위원,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젠더폭력대책 특별위원을 맡고 있다.
오 의원의 날카로운 질의는 계속됐다. “생활임금위원회는 내년 생활임금을 9769원으로 결정했는데 허태정 대전시장은 9700원이라고 발표했네요. 시가 생활임금을 일방적으로 깎은 겁니까?”
오 의원은 “허 시장은 유성구청장으로 재직하면서 대전에서 처음으로 생활임금제를 도입하신 분”이라며 “시가 일방적으로 삭감한 것은 위원회 역할을 무력화시킨 것이자, 노동자의 인간적 문화적 생활을 가능케 할 목적으로 제정된 생활임금 취지에도 반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선희 경제과학국장은 고개를 숙였다.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는 말처럼 시민과 함께 정의를 실현하고 대전의 발전을 이루는데 가장 앞에 서 있는 시의원이 되겠습니다.” 그가 다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