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전입자 10명 가운데 7명은 충청권에서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 조성한 세종시가 되레 충청권 인구를 흡수해 주변 지역 쇠퇴를 부르면서 세종시와 주변 지역의 협력 방향성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국내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지난해 세종시의 순유입 인구(전입-전출)는 3만4690명으로 이 가운데 충청권 순유입 인구가 69.2%(2만3997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수도권이 18.7%(6502명), 영남권 6.5%(2241명), 호남권 4.7%(1643명), 강원·제주 0.9%(307명) 순서였다.
시·도 별로는 대전에서 순유입된 인구가 1만7836명으로 세종시 전체 순유입 인구의 51.4%에 달했다. 지난해 세종시로 전입해 온 인구의 절반 이상이 대전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다음으로는 충북 10.0%(3455명), 경기 9.4%(3251명), 충남 7.8%(2706명), 서울 7.5%(2618명)등 이었다.
세종시 전입 사유는 △주택 마련 등(42.1%, 3만4588명)이 1위였고, △직업·직장에 따른 이동(24.1%, 1만9746명) △독립·결혼 등 가족 구성 변동 등(18.7%, 1만5315명) △교육(3.9%, 3226명)이 뒤를 이었다.
세종시 주민들은 거주 환경에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세종연구원이 세종시민 124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지난달 25일 발표한 ‘세종시 거주 만족도 조사’를 보면, 만족한다는 답변은 55.5%로 절반을 웃돌았다. 불만족(3.9%)과 매우 불만족(0.7%)은 모두 4.6%에 불과했고, 보통은 29.5%였다.
세종시 건설에 따른 인구유출의 직격탄을 맞은 대전시는 관련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대전시는 세종시의 배후 광역도시로서 도시 인프라를 확충해 인구 유출을 최소화하고 세종시 경제 영역을 대전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또 혁신도시 지정을 추진해 지역 인재들이 취업에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류정해 대전시 인구정책담당은 “도시 인프라를 강화해 세종시민을 다시 유치하고 국가 지원을 통해 지역 인재들이 대전의 공기업에 취업하는 기회를 확대한다면 인구 유출을 줄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 세종시와 주변 도시와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세종시는 50만 계획도시이고 대전시는 인구 150만명이 거주하는 광역도시여서 도시 규모에 따른 인프라 수준이 다르다. 따라서 세종~대전 간 교통 접근성을 강화해 세종시민의 생활권을 대전으로 확대한다면 인구 유출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황혜란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가균형발전 가치 실현을 위한 대도시권 관점에서 대전과 세종시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주요 도시가 광역 협치를 운영하는 네덜란드 란트스타트, 10개 지방정부 연합체가 함께 도시 문제에 대응하는 영국 맨체스터의 사례를 참고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