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나주의 혁신도시 안에 세워진 고형폐기물 열병합발전소 지역난방공사 제공
전남 나주의 고형폐기물(SRF) 열병합발전소를 둘러싼 해묵은 갈등이 공론조사에 부쳐질 것으로 보인다.
나주시의회는 20일 나주시청에서 나주 혁신도시 주거지에서 1.2㎞ 떨어진 열병합발전소 현안 해결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앞서 시의회는 지난 9월 전체 의원 15명 중 8명으로 특별위원회를 꾸려 현장 방문과 의견 청취 절차를 밟았다.
토론회에서 시민대책위는 하루 폐기물 연료 444t을 소각하면 대기·토양 오염 등이 우려되는 만큼 100% 천연가스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역난방공사는 2014~2017년 2700억원을 들여 폐기물처리시설 의무설치 지역에 전기 21.9㎿, 열 45G㎈/h 규모의 시설을 준공했으나, 미가동에 따른 피해가 막심하다고 설명했다.
참가자들은 이날 환경 유해성과 쓰레기 대책, 기관별 해법, 매몰 비용 등을 분야별로 점검한 뒤 공론조사 가능성을 집중 논의했다. 공론조사는 울산 신고리 5·6호기나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의 갈등을 매듭짓고, 이해당사자의 승복을 끌어냈다는 점에서 유력한 해결책으로 떠올랐다.
지차남 나주시의회 특별위원장은 “발전소는 지어졌고, 주민들은 반대한다. 지난해 12월 가동을 중단한 채 갈등이 이어지지만, 누구도 앞장서서 해결하려 하지 않는다. 먼저 대기·연돌·토양·소음·연료 등 분야의 환경영향조사를 하고, 이를 토대로 공론화의 절차와 방법을 도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단체 새벗포럼의 박상호 대표는 “이해가 첨예하게 갈리는 대립을 스스로 해결하는 게 민주주의다. 지난 6월부터 거론된 공론조사를 전남도 주최, 나주시 주관, 산업부와 환경부 참여로 추진해야 한다. 시기와 절차를 정해 압축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