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조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 등 충청권 단체장이 7일 오전 대전시청에서 2030 여름 아시안게임 공동 개최를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대전시 제공
충청권이 ‘저비용·고효율’을 앞세워 2030년 여름 아시안게임 공동 개최에 나선다.
충청권 광역단체장인 양승조(충남)·이시종(충북) 지사와 허태정(대전)·이춘희(세종) 시장은 7일 오전 11시 20분 대전시청에서 ‘2030 하계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이들은 “2030 아시안게임은 행정수도 및 국토의 중심인 충청권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로 도약하는 기회다. 충청권이 화합하고 한반도 평화 정착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충청권 공동 개최의 이점으로 ‘고효율·저비용’을 강조했다. 사상 처음으로 4개 시도가 대회를 함께 열면 경기장 등 기존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어 비용은 줄이고, 효율은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민영완 충북도 체육진흥과장은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에 저비용·고효율의 본보기를 제시할 계획이다.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면 지난 대회 절반 수준의 예산으로 경기를 치를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충청권은 앞서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때 3조2400억원,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때 2조5000억원 정도의 예산을 쓴 것으로 분석했다. 충청권이 내세운 또 하나의 콘셉트는 ‘평화 아시안게임’이다. 남북 공동입장, 남북 단일팀 구성 등을 통해 지난해 평창 겨울 올림픽에 이은 한반도 평화 분위기 확산의 계기로 삼겠다는 게 이들의 복안이다.
이들 광역단체장들은 이달 안에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를 거쳐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에 대회 유치 의향서를 전달할 예정이다. 올해 안에 국내 후보 도시로 확정되면 2021년 6월께 공식 유치 신청서를 낼 참이다. 개최지는 현지 실사 등을 거쳐 2022년 초께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선 대구, 제주 등이 대회 유치를 검토하다 뜻을 접었다. 국외에선 필리핀·인도·아랍에미리트 등이 유치전에 뛰어들 것으로 점쳐진다.
오윤주·송인걸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