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환경단체들이 환경부의 4대강 보 처리방안 결정을 앞두고 영산강의 승촌보와 죽산보를 해체하라고 촉구했다.
영산강재자연화시민행동과 영산강살리기네트워크 등 환경단체 21곳은 11일 영산강유역환경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렇게 요구했다.
이들은 “4대강 사업으로 만든 보 때문에 수질과 생태환경이 나빠졌다. 물 부족을 해소하지 못하고 치수효과도 없는 보를 존치할 이유가 없다. 승촌보와 죽산보를 해체해 영산강을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수문 개방 이후 유속이 다소 빨라져 하천 경관이 회복되는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하천바닥 굴착과 인위적 호안정비로 훼손된 강이 본래를 모습을 찾기까지는 많이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단순한 보 해체가 아니라 하굿둑 존폐와 지류의 보존 등 유역을 모두 고려한 영산강 복원 구상을 기대한다. 정부는 자연과 농사, 생활환경 변화를 고려한 대책을 마련하는 등 복원 의지를 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광주전남환경운동연합, 광주전남녹색연합, 광주전남불교환경연대, 시민생활환경회의, 영산강살리기운동본부, 주암호보전협의회 등이 동참했다.
앞서 환경부는 2017년 6월~2018년 12월 4대강 보 16곳 중 11곳을 개방한 결과 자정 능력이 향상됐다고 확인했다. 관측 결과, 수문을 전면 개방했던 영산강은 자정계수가 9.8배 상승했다. 체류시간 감소, 유속 증가 등으로 물흐름이 크게 개선됐고, 수변의 생태 서식공간이 넓어졌다. 영산강엔 0.164㎢의 모래톱이 형성됐고 2.378㎢의 수변공간이 늘어나며 서식하는 물새 개체 수가 9배 가까이 증가했다. 승촌보의 경우 지난해 6~9월 녹조를 유발하는 유해 남조류 출현이 1535개/㎖에서 221개/㎖로 85.6% 줄어들기도 했다.
환경부는 오는 13일 4대강 보 처리방안을 결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